시동 거는 ‘광복절 폭주족’… 게릴라 질주 끝까지 추적
입력 2011-08-12 20:42
폭주족과 경찰이 8·15 광복절을 앞두고 심야의 도심 레이스를 준비하고 있다. 폭주족은 잡히지 않으려고 발버둥치고, 경찰은 끝까지 추적해 법의 심판대에 세우겠다는 각오다.
12일 오전 2시 서울 자양동 뚝섬유원지에서 오토바이를 타던 김모(18)군은 피자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고 했다. 김군은 “지난 3·1절에 경찰 단속에 밀려 폭주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면서 “광복절에는 단속을 피해 서울시내를 질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옆에 있던 이모(19)군은 “조만간 폭주 계획에 관해 연락이 올 것”이라고 전했다.
폭주족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연락한 뒤 순식간에 폭주를 하고 흩어지는 게릴라 수법을 이번에도 이용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에서만 500~600명이 도심을 질주할 것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여의도 한강 둔치, 뚝섬 유원지, 서울도심 대교 등에서 적게는 20~30명, 많게는 100명 정도 모여 폭주를 한 뒤 흩어진다는 계획이다. 경찰 단속이 서울에 집중될 경우 경기도나 충청도까지 원정 폭주를 하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폭주족이 국경일에 준동하게 된 것은 199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오토바이 동호회 소속 송모(38·자영업)씨는 “오토바이 묘기를 즐기는 청소년들이 공휴일 전날 한강 둔치에 모이기 시작한 것이 단초가 됐다”고 말했다.
여기에 광복절과 3·1절의 민족주의적 분위기에 폭주족이 편승했다. 또래들에게 주목받고 싶은 소영웅주의와 경찰 등 제도권에 저항하는 반사회주의 성향이 결합하면서 지금의 비뚤어진 폭주문화가 형성됐다는 게 일반적 설명이다.
경찰은 대대적인 단속을 선언했다. 13∼14일 교통경찰 5964명을 서울시내 129개 폭주족 주요 이동로에 배치키로 했다. 또 경찰서마다 폭주족 전담반을 편성하고, 중·고교 지도교사가 현장에서 단속하도록 교육청에 협조를 요청했다. 폭주 전력자들에게 경고성 문자메시지도 발송했다. 현장에서 검거하지 못하더라도 CCTV와 버스·택시에 설치된 블랙박스 영상, 시민 제보 동영상 등을 분석해 끝까지 추적, 처벌할 방침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