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일본해’ 표기 실무그룹 협의 2012년초까지 연장

입력 2011-08-11 18:39

국제수로기구(IHO)가 지난 6월로 종료된 ‘동해·일본해’ 표기 문제 해결을 위한 실무그룹 협의를 내년 초까지 연장하자고 우리 정부에 공식 제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 측 ‘해양경계(S-23)’ 실무그룹 관계자는 11일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2주전쯤 알렉산드로스 마라토스 IHO 총회 및 실무그룹 의장으로부터 실무그룹 협의를 내년 초까지 연장하자는 이메일을 받았다”며 “IHO가 시한으로 정했던 지난 2년간 표기 문제가 결론이 나지 않자 의장단 차원에서 논의를 더 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장 제의를 받아들이기로 한 우리 정부는 ‘동해·일본해’ 공동표기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는 한편, 동해 수역을 우리쪽 바다와 일본쪽 바다로 나눠 동해와 일본해로 각각 이름을 부여하는 절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의장단이 내년 총회 때 임기가 만료되는 만큼, 실무협의를 연장해서라도 동해·일본해 표기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강하다”며 “우리 측은 공동표기를 밀어붙이되 일본해 단독 표기를 막는 다양한 절충안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소한 한반도가 그려진 지도에 일본해만 단독 표기되는 것은 막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마라토스 의장은 이메일에서 ‘동해·일본해’ 표기와 관련, 의장단 차원의 절충안을 제시하며 한·일 양국이 타협점을 찾도록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절충안은 IHO의 ‘해양과 바다의 경계’ 책자에 일본해(Japan Sea)로 단독 표기하되, 부록에 동해(East Sea)라는 명칭을 수록하자는 내용으로, 크리스 앤더슨 IHO 총회 부의장이 아이디어를 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이 같은 절충안을 거부하고 모든 외교력을 동원해 ‘동해·일본해’ 공동표기가 받아들여지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이미 거절한 상태”라며 “동해 표기가 부록에 들어가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이 절충안에 일본 측은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IHO 의장단은 나머지 실무그룹 25개 회원국의 의견을 청취하겠다는 입장이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