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發 금융 쇼크] 달러 급속유입땐 원화 가치 급등… 수출 가격 경쟁력엔 직격탄
입력 2011-08-11 22:06
원·달러 환율은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1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1.80원 오른 1081.80원에 마감했다. 지난 10일 환율이 7거래일 만에 하락세로 반전했지만 하루 만에 상승세로 돌변했다. 뉴스와 소문, 불안심리에 따라 달러화 가치는 오르락내리락하고, 원화 가치도 연동해 널을 뛰고 있다.
시장에서는 당분간 현재 수준에서 환율이 등락을 반복한다고 본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환율전쟁이 벌어지고, 그 와중에 원화 가치가 강세(환율 하락)로 간다고 전망한다. 원화 강세, 글로벌 환율전쟁은 수출로 먹고 사는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에게는 치명적이다.
원화를 둘러싼 불안요인은 두 가지다. 우선 미국의 초저금리 유지는 대형악재다. 미국에서 싼 값에 달러를 빌려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달러 캐리 트레이드’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는 기준금리가 연 3.25%라 미국과 금리 격차가 크다. 미국 국고채 금리(2년물 기준)가 연 0.2%인 반면 우리의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3.45%다.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좋고 금융시장이 개방된 우리나라가 매력적인 투자처로 떠오르는 것이다.
달러화가 물밀듯이 들어오면 우리 외환시장에서 원화 가치가 급등한다. 가파른 원화 강세는 수출 가격 경쟁력을 깎아 먹는다.
또 환율전쟁은 달갑지 않다. 엄청난 규모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를 거둬들이고 있는 중국과 미국이 환율전쟁 중심에 있다는 점은 큰 부담이다. 미국이 위안화 절상을 압박하게 되면 이는 원화 가치 상승으로 연결된다. 정영식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현재의 위기가 진정 국면으로 전환되면 원화 가치는 가파르게 오를 것이다. 외국인의 국내 채권시장 투자 증가, 달러 캐리 트레이드 자금 유입 등은 원화 가치를 계속 밀어 올릴 수 있다. 여기에다 위안화와 달러화의 갈등 속에서 원화는 자연스럽게 강세로 갈 것”이라고 진단했다.
정부는 장기적으로 원화 강세 추세가 이어질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환율 하락은 물가를 잡는 데 도움이 되지만 수출을 주저앉히기 때문이다.
김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