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8·15 키워드 ‘화합’… 對北·독도 새 메시지 없을 듯

입력 2011-08-11 19:01

광복절을 사흘 앞두고 이명박 대통령의 경축사 문안 작업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당초 예상됐던 새로운 대북 메시지나 독도 관련 언급은 담기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어젠다는 2009년 ‘친서민 중도실용’, 2010년 ‘공정한 사회’의 연장선에서 화합과 상생을 강조하는 내용이라고 한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1일 “북한이 남북대화를 (6자회담으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로 보는 듯하다”며 “별 진전이 없는데 특별한 대북 메시지를 내놓는 게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외교안보라인에선 남북관계 언급을 최소화하자는 의견도 제시됐다. 다른 관계자도 “(북한의 움직임을) 좀 더 봐야겠지만 파격적 제안을 내놓을 만큼 분위기가 성숙되지 못했다”고 했다.

독도 문제는 대통령이 직접 경축사에서 거론할 경우 국제분쟁지역화를 노리는 일본에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신중론이 지배적이다. 이 대통령은 그동안 광복절에 독도를 언급한 적이 없다. 한 관계자는 “당연히 우리 땅인데 경축사에서 새삼스레 얘기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따라서 북한에는 ‘원칙 있는 대화’ 기조를 유지하는 원론적 메시지를 전하고, 일본에 대해선 한·일 관계를 큰 틀에서 정리하는 연설이 될 것으로 보인다.

큰 그림은 ‘화합’이다. 서민, 중소기업 등 사회적 약자들이 고도 경쟁의 자본주의 체제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고통 분담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게 될 것이란 분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중소기업·벤처기업이 성공하기 힘든 이유로 대기업의 불공정 관행을 지적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말도 결국 상생이 결핍된 구조를 말한 것”이라며 “이런 문제를 타개하려면 사회 구성원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미국 신용등급 강등 사태와 관련해 재정 건전성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교육 분야에선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을 통한 ‘선(先) 취업 후(後) 진학’ 시스템의 정착을 강조할 계획이다. 경축사는 다섯 가지 초안을 둘로 압축한 상태지만, 국내외 변수에 따라 대폭 수정될 가능성도 남아 있다. 지난해 경축사의 ‘통일세’ 부분도 최종 문안 수정 단계에서 새로 추가된 것이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