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發 금융 쇼크] “공매도 금지, 7거래일간 주가방어 약발 있었다”

입력 2011-08-10 18:47


금융당국의 주식시장 공매도 금지 조치는 급락하는 주가를 방어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하지만 떨어진 주가를 상승시키기는 어렵다는 전망도 동시에 제기됐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해당 주식을 빌려 매도한 뒤, 낮은 가격에 매수해 주식을 갚는 방식으로 수익을 거두는 투자기법이다.

대신증권 이승재 연구원은 10일 보고서에서 “2008년 10월 1일 공매도를 금지했던 사례를 살펴보면 공매도 금지는 주가를 방어하는 효과가 7거래일 정도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코스피지수가 공매도 금지 뒤 1주일간 MSCI월드지수, S&P500지수 등 세계 증시를 반영한 지수들보다 최대 10% 정도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비슷한 시기 공매도를 금지한 대만 가권지수는 MSCI월드지수보다 평균 15%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공매도 금지 조치가 주식시장을 상승세로 이끌지는 불투명하다. 기존 공매도 물량이 곧바로 숏커버(환매수)로 이어질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지수 추가 하락을 예상하는 투자자들은 환매수 대신 공매도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공매도 금지는 매도를 제한할 뿐 매수를 유발하는 요인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공매도 금지는 오히려 증시 부진을 심화하기도 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각국 정부는 시장 혼란의 주범으로 대형 헤지펀드 등의 공매도를 꼽았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선진국은 물론 브라질, 러시아 등 개발도상국까지 17개국이 잇따라 자국 증시에 공매도 금지 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곧이어 증시 거래가 위축되고 증시 부진이 심화됐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당시 시장분석업체 샌들러오닐은 “공매도가 금지된 뒤 미국 증권거래소에서는 거래 물량이 41%나 줄어들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공매도로 높은 수익을 올려오던 헤지펀드, 뮤추얼펀드, 연기금 등 금융 기업들의 반발도 컸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