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진重 사태, 이제 당사자가 풀어야 한다

입력 2011-08-10 17:58

8개월여 진통이 계속되고 있는 한진중공업 사태가 지난 주말 귀국한 조남호 회장의 적극적인 제안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고 있다. 조 회장이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내놓은 대국민 호소문에서 한진중공업이 부산 영도 조선소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것과 조기 경영 정상화 이후 해고자 및 퇴직자 재고용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대목은 전향적인 제안으로 평가된다.

조 회장이 좀 더 빨리 나섰더라면 사태가 여기까지 오지 않았을 것이나 이제라도 회사 차원의 대안을 내놓은 것은 다행스런 일이다. 사측의 대안 제시를 계기로 이제 한진중공업 사태는 외부 개입 없이 노사가 자율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지난 1월 6일부터 타워크레인에서 고공농성을 하고 있는 김진숙 민주노총 지도위원도 내려와야 한다. 3차례 ‘희망버스’ 행사로 김씨를 지원하던 일부 정치권 등 외부 인사들도 더 이상 참견하지 말아야 한다. 상주보다 곡쟁이가 더 설치는 것은 비정상이다.

조 회장은 3년 이내에 경영 정상화를 이루겠다고 약속했다. 노사 상호 불신의 골이 깊어진 상황에서 노측은 회사가 제시한 방안이 다소 불만스러울지 모른다. 그러나 대승적 차원에서 노사가 합의한 합리적 안을 실천에 옮겨야 한다. 노측도 수레의 또 다른 바퀴인 사측과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 무엇보다 정치권과 부산시의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지원과 도움이 절실하다.

조 회장은 정리해고로 회사를 떠난 사원들에 대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해고자 자녀 2명까지 대학학비 전액을 지원하겠다고 했고 회사 정상화 후 퇴직자 우선 재고용을 약조했다. 이 정도라면 노측도 안 받을 이유가 없다. 국회가 한진중공업 사태를 다룰 청문회를 준비 중이다. 조 회장도 나오겠다는 입장이다. 크레인 농성을 하고 있는 김진숙씨도 당연히 나와야 한다. 재발방지책을 마련하고 사측의 철저한 약속 이행도 다짐 받아야 한다. 한진중공업 사태가 조속히 해결됨과 동시에 앞으로 이 같은 불행한 노사분쟁이 다시 일어나지 않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