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독도 침탈 점점 노골화 되는데 우리는 우리 땅 제대로 가르치나

입력 2011-08-09 17:45


경기도 고양시 서정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오는 28일 2박3일 일정으로 독도와 울릉도를 다녀올 예정이다. 이 학교는 지난해부터 ‘독도탐험대’라는 동아리를 운영하고 있다. 동아리 담당 이경원(40) 교사는 지난해 6학년 학생 18명을 데리고 독도와 울릉도를 2박3일간 다녀왔다. 학생과 학부모의 반응이 좋아 올해엔 6학년 학생 전원을 데리고 독도를 방문하는 것이다.

이씨는 9일 “6학년부터 영해·영토·영공의 개념을 배우기 때문에 독도는 공부하지 않을 수 없는 지역”이라며 “아이들이 독도를 다녀온 뒤에도 자료를 정리하고 전시회를 열면서 역사를 배우게 된다”고 말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서정초 등 전국 62개 초·중·고를 ‘독도거점학교’로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최근 일본 자민당 극우 성향 의원들이 울릉도 방문을 시도하고 문부과학성이 초·중·고 사회과 교과서에 ‘독도는 일본 고유 영토’라고 주장하는 등 독도에 대한 일본의 도발이 잦아지고 있다. 미국도 국제수로기구(IHO)에 동해를 ‘일본해’로 단독 표기해야 한다고 밝혀 독도를 둘러싼 한·일 갈등은 더욱 첨예해질 전망이다. 우리 정부도 일본의 역사 왜곡에 맞서 학생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독도 부교재 지급, 학생·교사 교육 강화=교과부는 이달 중순 전국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전원에게 독도 부교재 ‘독도바로알기’를 보급한다. 부교재는 60여쪽 분량으로 독도의 자연환경과 지리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본 내용이 담겨 있다.

독도 부교재는 올해 안에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용도 개발돼 해당 학년에 60만∼70만부씩 보급된다. 학생들은 각급 학교에 진학할 때마다 단계적으로 개발된 교재를 통해 독도가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한국 영토라는 점을 공부하게 된다. 교과부 권영민 동북아역사대책팀장은 “도덕, 사회, 국사 등의 교과에 반영된 독도 교육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교재를 개발했다”며 “교사는 교재를 정규 수업에 활용하거나 창의적 체험활동, 학교행사 등을 통해 교육하게 된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초·중·고교 독도거점학교 지정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 62개 독도거점학교 외에 이달 안에 해외 한국학교 5개교를 독도거점학교로 선정한다. 해당 학교는 ‘독도지킴이반’ ‘독도사랑반’ 등의 동아리를 운영하면서 독도 연구, 전문가 초청강연, 전시회 등을 개최한다. 해당 학교에는 교과부 예산도 지원된다.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독도 연수프로그램인 ‘찾아가는 사이버 독도 교실’을 열기도 했다. 이 프로그램은 역사 기록 속에 나타난 독도, 일본의 독도 침탈 과정 등을 가르치는데 현재까지 교사 2100명이 이수했다. 교과부가 전국을 순회하면서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개최 중인 ‘독도전시회’에도 지난달 기준으로 9만5000명이 관람했다.

◇정규 수업 내용 강화, 교과서 철저 검증 필요=교과부가 백화점식으로 독도 교육 강화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교육 효과를 위해선 정규 교과에서 관련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창의적 체험활동이나 학교 행사 등 비정규 수업으로는 독도교육을 하기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 초·중·고생 교과목 중 독도 관련 내용은 도덕, 사회, 국사 등에 반영돼 있다. 초등학생은 3∼4학년 교과서에 독도 관련 사진자료가 주로 들어가 있고, 중학교는 국사·사회·사회과부도 등에 “독도가 국방상 요지이며 역사상 우리 영토”라는 내용이 강조돼 있다. 고등학교의 경우 한국사에 독도가 삼국시대 이후 우리 영토라는 사실이 기록돼 있고 한국지리에는 고지도와 문헌을 통해 독도가 우리영토임을 설명하고 있다. 교과부는 개정교육과정에서 사회·도덕 등 교과서와 해설서에 독도 기술을 강화할 방침이다.

일본의 교과서 왜곡을 탓하기 전에 우리 교과서부터 독도에 대한 내용을 제대로 담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교과부는 지난 5월 독도의 세부 지명과 위치 등을 잘못 표기한 중·고교 검정 교과서를 내년부터 대거 수정한다고 밝혔다. 수정 대상 교과서는 사회과부도가 4종으로 가장 많았고 사회 3종, 한국사와 국어가 1종씩이었다. 오류 교과서는 비공식 지명을 표기하거나 독도의 위도, 경도, 면적을 잘못 표기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