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G 버스, 정기 검사로 폭발 위험 막는다
입력 2011-08-08 22:06
서울시는 그동안 대기질 개선을 위해 보급 위주로 추진하던 압축천연가스(CNG) 버스 정책을 관리중심으로 전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시는 이에 따라 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했던 CNG버스 내압용기 뒷부분까지 세밀히 점검할 수 있는 자체 점검장비를 개발, 66개 시내버스회사에 1∼2대씩 모두 80대를 보급했다. 이를 통해 각 버스회사는 CNG버스 내압용기를 2개월마다 자체적으로 정밀 검사할 계획이다. 또 여름철에는 충전압력을 기존의 90% 수준으로 낮춰 기온 상승으로 가스통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예방하기로 했다. 오는 11월부터는 개정된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3년마다 CNG버스 내압용기 정기 재검사가 의무화된다. 시는 강동 공영차고지, 노원 및 상암 교통안전공단 부지에 재검사 시설 설치를 준비 중이다.
한편 시는 지난해 8월 CNG버스 폭발사고 이후 지난 4∼7월 버스제작사, 운수회사와 함께 시내에 운행 중인 CNG버스 7426대에 대해 전수 조사를 했다고 밝혔다. CNG버스에 장착된 연료장치와 내압용기 등 부품 5만1982개에 대해 특별 검사한 결과 모두 658건의 부품 결함 사항을 발견했다.
CNS버스 중 33대에서 미세한 가스누출이 발견됐고, 가스주입구에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갈 수 없도록 하는 충전구 고무마개가 없는 경우도 19건이나 나왔다.
시는 시동이 꺼졌을 때 자동으로 가스공급을 차단해주는 고압차단밸브 미작동 사례 483건을 발견해 모두 교체했다. 수분이나 염화칼슘의 영향으로 녹이 발생한 내압용기 123개를 이달 말까지 모두 새 부품으로 바꾸도록 했다.
황일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