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 10월까지 구성… 위원장후보엔 유치 빅3 거론
입력 2011-08-07 18:5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로부터 한 달을 맞아 조직위원회 구성 작업도 표면화될 전망이다.
한국시간으로 지난달 7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올림픽 유치에 성공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는 다음달 초 청산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유치위는 해산 총회를 개최해 청산인을 임명한 후 법인 청산 절차에 들어간다. 유치위는 청산 파트와 이양 파트로 나뉘어 업무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양 파트는 조직위 구성 전까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의 연락 등 동계올림픽 유치 업무를 진행해 업무의 영속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동계올림픽 유치시 IOC에 약속한 대로 10월까지 조직위 구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초기 조직위 구성은 150명 정도로 구성되지만 올림픽 개최 전까지 꾸준히 증가해 최종 인원은 1000명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조직위 구성이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위원장 임명 작업이 우선시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직위원장과 관련해서는 조양호 유치위원장, 박용성 대한체육회장, 김진선 평창 유치 특임대사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제 3의 인사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조직위가 구성되면 집행위원회를 만들어 조직위 구성 후 1년 이내에 조직위 엠블럼, 마스코트, 대회 공식 명칭 등이 포함된 마스터플랜을 작성해 IOC에 제출해야 하는 만큼 실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조직위원장이 임명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조직위 구성과 관련, 중앙 정부와 강원도의 인력 배분 문제 등도 향후 조직위원장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조직위 구성은 IOC와 개최도시, 국가올림픽위원회가 협의해 구성하도록 돼있는 만큼 강원도와 중앙정부 간 마찰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