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못믿겠다”… 저축銀 ‘뱅크런’ 공포
입력 2011-08-07 18:39
지난 5일 울산 경은저축은행 영업정지로 저축은행 부실 우려가 다시 시장을 덮치고 있다. 금융당국은 하반기 저축은행 구조조정과는 별도로 자체 부실이 드러난 저축은행을 ‘수술’하는 ‘투 트랙’ 전략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오히려 이번 영업정지가 구조조정에 앞서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 사태를 촉발시키기 않을지 우려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7일 “경은저축은행은 지난 6월 검사결과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이 -2.83%를 기록해 영업정지에 나선 것으로 하반기 구조조정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면서 “기존에 검사 완료된 저축은행에 대한 처리와 다음 달 구조조정을 별도로 처리하는 ‘투 트랙’ 방식으로 간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경은저축은행 영업정지 역시 해당은행의 자본잠식이 심화된 상태였기 때문에 예금자 보호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그대로 놔둘 경우 부채만 더 늘어나 5000만원 초과 예금자들이 추후 돌려받을 배당금이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금융위는 경은저축은행 이외에 상반기 중 검사가 완료돼 적기 시정조치 절차가 진행되는 저축은행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하반기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공적자금을 투입해 조직적인 관리에 들어갈 방침이다. 저축은행 부실을 연말까지 단계적으로 처리할지, 짧은 기간 내 강도 높게 처리할지 고민해 오던 금융당국은 최근 단기 집중 처리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이를 위해 기획재정부에 이미 ‘저축은행 구조조정 특별계정’에 5000억원의 공적자금 출연을 요청했으며, 현재 진행 중인 일괄 경영실태 진단 결과로 나타난 부실 규모에 따라 최종 액수가 확정될 전망이다. 경영실태 진단 결과는 다음 달 중순 나올 예정이다.
그러나 시장의 반응은 금융당국의 기대와는 반대로 흘러가는 양상이다. 경은저축은행은 또 다른 지방 소재 저축은행 1∼2곳 등과 함께 유력한 하반기 구조조정 대상으로 손꼽혀 왔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위가 전격적으로 영업정지 명령을 내리면서 업계 전반에 대한 고객 불안이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산 계열이나 경은저축은행 모두 금융당국이 ‘더 이상 영업정지는 없다’고 못 박은 뒤 기습적으로 영업정지된 곳”이라며 “시장에 공포감이 형성돼 있어 9월 말까지 금융위가 요구하는 BIS비율을 다 맞춘다 해도 고객들이 돌아오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