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신용등급 강등 쇼크] 아직까진 최고 안전자산… 투매 가능성 적어
입력 2011-08-07 21:56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강등이 미 국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관심사다. 다수의 의견은 1단계 등급 하향 조정이 미 국채의 안전성을 위협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이미 미국 채무한도 협상으로 인한 불안감이 시장에 반영됐고 3대 신용평가사 가운데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만 하향 조정한 점도 이러한 주장의 근거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번 강등으로 국채 가치가 하락해 이자 부담이 늘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5월말 현재 미 국채 보유국 순위는 중국(1조1598억 달러)이 1위이며 일본(9124억 달러)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미 국채, 최고의 안전자산=로이터 통신은 6일(현지시간) 투자자들이 미 국채를 투매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이는 미 국채의 특별한 지위 때문이다. 금융 당국과 투자 펀드들은 미 국채를 신용등급과 관계없이 별도 자산 범주로 분류한다. 기축통화인 달러화를 찍어낼 수 있는 미국의 발권 능력과 이에 기반을 둔 미 국채의 상대적 안전성을 고려한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를 인용해 미국의 단기 등급은 이번 하향 조정에서 제외됐기 때문에 단기자금을 운용하는 머니마켓펀드(MMF)에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도 “400억 달러가 넘는 단기 국채를 보유하고 있지만 S&P 조치 때문에 매각할 필요를 느끼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미 국채는 그동안 S&P의 거듭된 신용등급 강등 경고에도 불구하고 안정세를 보여 왔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S&P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AA+로 하향 조정한 지난 5일 2.56%를 기록해 지난달 3.12%보다 하락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이는 미 국채에 대한 수요가 그만큼 꾸준하다는 의미다. 러시아와 프랑스 등 유럽 주요국들도 미 국채를 계속 보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채 가치 하락으로 이자 부담 늘 것=반면 장기적으로 채권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미국의 신용등급이 내려가면 미국 정부가 국채 발행으로 지급해야 하는 이자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JP모건체이스 글로벌 채권투자전략 책임자 테리 벨튼은 미국의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국채 발행 비용이 비싸져 금리가 오르고 자금조달 비용이 1000억 달러가량 더 늘 수 있다고 밝혔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신용등급이 강등된 이상 미국이 AAA 등급을 단시간에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S&P는 미국의 재정 상황에 의미 있는 변화가 생기기까지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피치도 정치권이 세금을 늘리고 지출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