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안보 마스터플랜 내주초 발표

입력 2011-08-04 18:34

북한의 사이버 공격 등에 대비한 정부의 ‘사이버 안보 마스터플랜’이 다음 주 초 발표된다. 마스터플랜에는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최근 발생한 네이트와 싸이월드 해킹 사건 등 민간 영역에 대한 대책도 포함될 예정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4일 “지난 4월 농협의 전산망 마비 사태를 계기로 사이버 테러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해 왔다”며 “방송통신위원회가 그간의 논의 결과를 종합한 ‘사이버 안보 마스터플랜’을 8일쯤 발표할 계획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2일 이명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행정안전부, 방통위 등 관련 부처들이 준비한 방안을 보고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앞으로 공공기관이나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사이버 테러 대응 기관이 나누어져 있어 혼란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있었기 때문에 각 기관의 사이버 테러 대응 역할을 명확히 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범정부적 대책기구가 이를 총괄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마스터플랜의 골자”라고 설명했다.

현재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은 공공 부문의 경우 행안부와 국가정보원이, 민간은 방통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맡고 있다. 또 사이버 범죄는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가, 보안 산업 전반에 관한 사항은 지식경제부가 각각 나눠서 맡고 있다. 이 때문에 대규모 사이버 공격을 당했을 때 정부 부처 간 혼선이 빚어졌고, 일원화된 대응 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