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 향린동산 매각 하자 없다

입력 2011-08-04 18:55


[미션라이프] 한국기독교장로회가 향린동산 매각과정에서 불거진 논란에 대해 “어떤 의혹이나 절차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장은 4일 서울 수유동 한신대 대학원에서 임시 실행위원회를 열고 향린동산 매각, 연세대 이사 파송, 총회목회신학대학원 신설 규정, 김포시노인종합복지관 문제 등 교단 현안을 처리했다. 실행위원회를 거친 주요 안건은 오는 9월 총회에 보고되며, 특별한 이견이 없는 한 마무리된다.

이날 최대 관심사는 향린동산 매각의혹과 연세대 이사 파송 건이었다. 향린동산은 경기도 용인 동백지구에 있던 유지재단 소유의 토지로 2005년 매각됐다. 그러나 일부 인사들이 “이사회 감사였던 백모 장로에게 공시지가보다 싼 가격에 땅을 매각했다”는 의혹을 제기했고, 지루한 법적 공방 끝에 전 총무는 무죄 판결을, 교단 인사 2명은 실형을 받았다.

이 문제에 대해 유지재단이사장 임명규 목사는 “향린동산을 환수 건은 지난해 총회에서 부결됐고 설령 환수한다 하더라도 지가상승, 개발비 등에 따른 많은 변제와 보상, 법정논쟁이 대두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 목사는 “매각된 토지 중 일부가 유지재단 명의로 남아 있는 것은 매입자 개인의 행정·절차상 허가문제 때문이지 이사회가 책임질 사안이 아니다”며 “따라서 향린동산과 관련된 어떤 의혹이나 절차적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결국 실행위원들은 유지재단의 보고를 받고 총회에 넘기기로 했다.

81명의 실행위원들은 “진보적 성향의 기장과 성공회 파송이사가 연세대 이사회에서 수년째 거부되는 이유가 뭐냐”고 따졌다. 이에 대해 김현배 대책위원장은 “교단 추천 파송이사가 연세대와 관련이 적어 영향력이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법적 행정적으로 이 문제를 대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결국 ‘9월 총회 전까지 방법을 찾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연세대 출신 목회자를 파송한다’는 쪽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날 실행위는 원활한 교역자 수급을 위해 서울 충정로 총회교육원 내 설치되는 총회목회신학대학원 운영 법규를 통과시켰다. 또 모 교회가 김포시노인종합복지관을 위탁하면서 약속대로 전입금을 지원하지 않아 법인이 7000만원을 대납한 사건을 보고받고 “무분별한 사회복지법인 설립을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미션라이프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