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역사왜곡 EBS, 이러고도 수신료 받나
입력 2011-08-04 17:54
우면산 산사태로 피해를 본 교육방송(EBS)의 종사자들이 “국군의 지원에 감사하며 보다 나은 서비스로 보답하겠다”는 인사를 끝내자마자 역사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공정언론시민연대가 EBS 고교 한국사 강의 중 ‘근현대사’ 6회분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반한친북 성향이 강했다고 한다. 낡은 이념의 잔재가 방송을 떠도는 현실이 개탄스럽다.
실제 강의내용을 보니 편향의 정도가 심하다. “북한에서는 민주개혁이라는 이름 하에 토지개혁이 이뤄졌습니다. 남한에서는 일부만 했어요. 그것도 돈 받고 말입니다” “군대가 빨갱이를 골라낸다는 명분으로 많은 무고한 여수·순천 시민들을 죽여요. 그냥 잡아놓고 옷 벗긴 다음에 ‘너 왜 미제 팬티 입었어?’‘너 무장공비지?’ 그러면 총으로 땅! 쏘아 죽이는 거예요”라는 식이다.
모든 국민은 사상과 양심의 자유가 있지만 교육자라면 개인의 소신을 접고 학문적으로 검증된 내용만 가르쳐야 한다. 더욱이 공영방송에 출연해 역사적 사실과 다른 내용을 강의한다는 것은 교육자의 자격이 없다. 지난해 한 여교사가 EBS 강의에서 “군대에서 죽이는 것 배워온다”라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더 큰 문제는 EBS의 검증 시스템이다. 문제의 강의가 생방송도 아닌 녹화방송에 버젓이 나가는 것을 보면 게이트키핑 기능이 없지 않느냐는 의구심이 든다. 강사의 자격 혹은 방송내용에 대해 EBS가 스스로 책임지지 않으면서 어떻게 수능방송의 권위를 주장할 수 있겠는가. 시청자들은 언제까지 시민단체로부터 이런 내용을 전해 들어야 하는지 답답하기 이를 데 없다.
EBS는 수능시험의 70%를 방송강의에서 출제하기로 한 뒤 거의 모든 수험생이 시청한다. 또 방송법에 따라 KBS 수신료 수입의 3%를 받는다. 2010년 총매출액 2428억 가운데 6.5%인 159억원이 수신료다. 교재를 팔아 번 1016억원도 일반 출판사의 희생으로 이루어진 독점의 결과물이다. 이런 사실을 알면서도 역사왜곡을 방치한다면 스스로 존립이유를 부인하는 것이나 다름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