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은 존재 부인, 생사확인·유해 송환 아직 요원…‘전시 납북자 인정’ 의미

입력 2011-08-03 00:13

6·25전쟁납북진상규명위원회에서 2일 55명의 납북자를 인정한 것은 전쟁 중 납북 피해가 정부에 의해 최초로 공식 확인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하지만 북한이 여전히 전시 납북자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있어 이들의 생사 확인이나 유해 송환 등은 요원한 상황이다.

정부는 납북자들이 고령인 만큼 생사 확인이 시급하다고 보고 모든 노력을 기울여 확인 작업에 나설 방침이다. 또 2013년까지 이들 가족의 피해 신고를 계속 받아 납북자들을 추가 지정한다는 계획이다.

전시 납북자 문제는 지난해 3월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 및 납북피해자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같은 해 12월 국무총리실 산하에 납북진상규명위가 설치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

이미일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장은 늦었지만 다행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9월 납북된 부친의 명예회복을 위해 60년 넘게 동분서주해 온 이 이사장은 “조국이 존재 자체를 잊었다며 북한에서 마음 아팠을 납북자분들께 위로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가족회와 함께 6·25전쟁 납북사건 사료집을 발간하고 유엔에 전시 납북자 인정을 요구하는 서한을 전달하기도 했다. 하지만 “납북된 사람은 없으며 모두 자유의지로 북으로 왔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북한과,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우리 정부 앞에서 무력함만 느껴야 했다. 이 이사장은 “전시납북자 명단이 있으면 북한에 생사 확인이나 유해 송환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의미 있는 시작”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납북자로 인정된 당시 국회 반민특위 위원장 김상덕씨의 아들 김정률(76) 임시정부기념사업회 부회장도 “2006년 평양에 갔더니 아버지 묘지만 있었다”며 “그동안 설움만 받던 전시 납북자들의 명예회복은 지금부터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