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6·25 납북자 55명 첫 공식 인정

입력 2011-08-02 22:37

6·25전쟁 중 납북된 민간인 55명이 정부로부터 처음으로 납북자로 공식 인정받았다. 지금까지 정부는 1953년 정전협정 이후 납북된 사람들에 대해서만 납북자로 인정, 진상 규명과 피해 보상을 해 왔다. 국무총리 산하 6·25전쟁납북진상규명및명예회복위원회는 2일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회의를 열고 가족 등이 6·25전쟁 중 납북자로 신고한 사람 가운데 55명을 납북자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 1월부터 전국에서 납북 피해 신고를 접수받아 실무위원회 조사와 소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려졌다.

정부로부터 인정받은 납북자에는 국회 반민특위위원장을 지낸 김상덕씨 등 제헌국회의원 6명이 포함됐다. 정부 당국자는 “위원회에 신고한 납북추정자 402명 가운데 1차로 55명을 납북자로 인정했다”면서 “나머지 실종자에 대해서도 조사를 더해 추가 지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6·25전쟁 중 납북자로 인정되면 정부에 의한 생사 확인과 서신 왕래, 유해 송환 등 명예회복 사업 대상으로 지정된다. 정부는 2013년까지 신고를 받아 납북 피해자를 결정할 방침이다. 정부는 6·25전쟁 중 납북된 사람이 9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