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전국 13곳 위원장 인선 살펴보니… 친박, 시·도당 위원장 약진 ‘朴의 힘’

입력 2011-08-02 22:17


한나라당 시·도당 위원장 선출 과정에서도 ‘미래 권력’ 박근혜 전 대표의 힘이 확인됐다. 당 대표, 원내대표 등 지도부에 이어 주요 시·도당 위원장 자리에 친박근혜계가 지원한 인사들이 대거 진출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2일 경남도당 위원장에 이군현 의원이 선출되면서 전국 13개 지역(광주, 전남·북 제외)의 시·도당 위원장 인선을 사실상 마무리했다. 선출 결과를 보면 친박계 또는 친박계 지원을 받은 위원장이 7명이고, 친이명박계는 6명으로 집계됐다. 전임 위원장의 경우 친박계가 6명, 친이계가 5명으로 일단 수적 비율에선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수도권의 ‘친박화’는 단연 눈에 띄는 변화다. 지난달 치러진 서울시당위원장 경선에선 친박계 지원을 받은 이종구 의원이 전여옥 의원을 제치고, 친이계 진영 의원에 이어 위원장직에 올랐다. 서울 지역 한나라당 의원 37명 중 친박계는 4명뿐이어서 ‘대세’가 조직력을 눌렀다는 평가다.

인천에서는 친박계 윤상현 의원과 친이계 박상은 의원 등이 경합을 벌였지만 지역 중진의원들의 중재로 윤 의원이 합의추대됐다.

한나라당 텃밭인 영남권에서도 친박계는 강세를 이어갔다. 유기준 의원은 친이계 김정훈 의원이 전임 위원장으로 있던 부산시당에서 경선 끝에 위원장 자리를 차지했다. 박 전 대표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에서는 친박계 주성영 의원이 친박계 유승민 최고위원으로부터 위원장직을 넘겨받았다. 경북에선 친이계 3선 이병석 의원이 친박계 재선 최경환 의원에게 자리를 빼앗겼다.

충청권도 박 전 대표의 대선 외곽 조직인 ‘국민희망포럼’을 주도하는 강창희 전 최고위원이 대전시당 위원장을 맡았고, 친박계 김호연 의원은 충남도당 위원장에 연임됐다. 친이계가 위원장에 오른 지역은 경남을 비롯해 경기, 울산, 강원, 제주 지역이다.

다선 의원들이 돌아가면서 추대되던 관례도 올해 시·도당 위원장 선출 과정에서 많은 부분이 깨졌다. 이례적으로 격전의 장이 되면서 초·재·다선 의원들이 맞붙은 것은 물론 원외 인사까지 뛰어들면서 3개 지역에서는 경선으로 위원장이 선출되기도 했다.

임기 1년짜리 시·도당 위원장 자리에 이처럼 치열한 경쟁이 펼쳐진 이유는 내년 총선 공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당규에 따르면 시·도당 위원장은 중앙당 공천심사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총선 위기론’이 당내 가득한 가운데 최소한 본인 공천은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반영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