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인 맞춤형 복지센터 확대한다… 5개 권역 어르신행복타운 등 건립
입력 2011-08-01 14:56
서울 지역 노인들을 위한 여가·복지시설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시는 급증하는 노인 인구를 감안해 2016년까지 수요를 100%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노인 여가·복지시설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1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서울에 사는 60세 이상 인구는 150만명. 하지만 노인·여가 복지시설은 종합복지관 30곳, 소규모 복지센터 24곳 등 54곳에 그쳐 수요 충족률이 56.7%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시는 2016년까지 소규모 복지센터를 중심으로 노인 여가·복지시설을 105곳까지 확장하고 기존 경로당 3116곳과 복지관 등의 노인 여가·교육 프로그램도 대폭 개선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단순한 쉼터 역할을 하고 있는 경로당·복지관에서 노인들이 소규모 동아리를 만들어 문화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노인종합복지시설인 어르신행복타운을 2016년까지 서남권, 도심권, 동북권, 동남권, 서북권 등 5개 권역에 건립할 예정이다.
아울러 노인종합복지관 30곳은 자치구 노인 복지를 지원하기 위한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지역밀착형 소규모 노인복지센터도 24곳에서 70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시는 우선 2014년까지 ‘서남권 어르신행복타운’을 건립해 의료와 건강, 여가, 체육 등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 대규모 행사장과 수영장 등의 시설은 행복타운에서 지원하도록 하고 생활밀착형 지원 서비스는 자치구에 있는 중·소규모 노인복지시설이 맡도록 해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다.
이정관 시 복지건강본부장은 “다양한 노인복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복지 인프라를 그물망처럼 촘촘히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3분의 2 이상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서울시의회 민주당 측 반대에 막혀 이 같은 사업이 제대로 추진될지는 미지수다. 서남권 행복타운 건립 사업 계획안은 지난해 두 차례 시의회 심사에 올랐으나 통과되지 못했다.
시의회 측은 “대규모 복지시설보다는 각 자치구에 경로당 등 생활밀착형 노인복지시설을 늘리는 방안을 마련하는 게 시급하다”며 반대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