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위구르족 저항 확산 차단… 신장 흉기난동사건 ‘테러’로 규정 강경 대응
입력 2011-08-01 22:56
중국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에 다시 심상찮은 불안이 조성되고 있다. 지난 18일 자치구 내 허톈(和田)시에서 파출소 난입 사건이 벌어진 데 이어 주말인 30일과 31일 이틀 연속 카스(喀什·카슈가르)시에서 폭발과 흉기 난자 사건이 발생했다. 이번 사건으로 인한 인명 피해는 1일 현재 사망자 19명, 부상자 43명으로 늘어났다고 신화통신이 1일 보도했다.
◇강경 대처 나선 중국 당국=현지 공안은 이번 사건을 ‘테러’로 규정하고 강경 대응에 나섰다. 공안은 우선 지난 31일 2차 테러를 일으키고 도주한 용의자 중 위구르족 2명에게 현상금 10만 위안을 걸고 이들을 공개 수배했다.
공안은 이와 함께 이번 사건이 발생한 두 곳을 통제한 채 시내 곳곳에서 삼엄한 경비를 벌이고 있다. 이에 따라 현지 주민들은 외출을 극도로 꺼리고 있어 카스시가 갑자기 공포의 도시로 변해 버렸다.
하지만 공안은 이번 사건이 ‘가해자 위구르족, 피해자 한족’이라는 구도로 비화되는 것은 피하고 싶어한다. 자칫 민족 간 갈등으로 번질 경우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안은 ‘카스시 사건’이 위구르족의 저항이 도시를 옮겨 진행된 것으로 보고 있다.
◇폭력 사태 근절될 수 있을까=카스시 정부는 지난 31일 벌어진 2차 테러의 배후로 파키스탄에 근거지를 둔 ‘동(東)투르키스탄 이슬람운동(ETIM)’을 1일 지목했다. 카스시 정부는 이날 온라인 성명을 통해 “테러 세력 지도자들은 ETIM의 파키스탄 내 기지에서 폭발물 및 무기류 제조법을 배우고 나서 신장으로 들어왔다”고 주장했다.
신장에서 이슬람교를 믿는 위구르족 중 일부 강경파는 중국에서 독립해 ‘동투르키스탄’이라는 나라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들은 이를 위해 테러도 불사한다는 입장이다.
이에서 보듯 중국 정부의 소수민족 통치에 저항하는 민족 감정이 수그러들지 않는 한 ‘강경진압과 보복테러’라는 악순환의 고리는 끊기 힘든 게 현실이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