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7개월째 4%대… ‘정책 失機’ 논란 재연

입력 2011-08-01 22:12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최고치를 기록하며 7개월 연속 4%대를 이어갔다. 기상 악화, 고유가 변수, 공공요금 인상 등 앞으로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정부가 이미 한 차례 상향 조정했던 연간 물가 전망치 4%를 훌쩍 뛰어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물가 실기논란도 재연되고 있다.

통계청은 7월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4.7% 올라, 올해 들어 가장 높았던 지난 3월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고 1일 밝혔다.

한파와 구제역 영향 등으로 3월까지 급등했다가 4∼5월 다소 둔화되는 듯하던 물가가 다시 상승폭을 키운 것이다. 장마 기간 중 폭우 피해를 입은 채소류 가격 급등이 주요인이었다. 신선채소류의 지난달 대비 상승률은 21.5%로 채소류 통계를 작성한 1985년 이래 최고치다.

문제는 앞으로다. 물가상승 요인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7월 초 정유사의 100원 인하 조치가 끝나면서 휘발유·경유 가격도 크게 올랐다. 여기에 대전 광주 대구 등 일부 지역에서 시내버스·전철 요금을 15% 정도 올렸고 상·하수도료 인상도 이어지면서 물가 부담을 더했다.

지난달 28일 중부지역을 강타한 최악의 비 피해와 태풍 등 기상 악화 움직임은 8월 물가의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예년보다 빠른 추석으로 인해 과일 값 급등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전·월세 등 집세는 물론 가공식품과 외식비를 포함한 개인 서비스 요금 등의 상승세도 여전하다.

정부와 한은이 목표로 잡은 연평균 물가 상승률(4%)에 머물러 있을지도 미지수다. 1∼7월까지 평균 물가 상승률은 이미 4.4%다. 허용 목표치를 넘기지 않으려면 남은 5개월간 물가 상승률을 3.4% 수준으로 억제해야 한다. 정부는 지난해 9월 이후 고물가에 대한 기저효과 등을 거론하며 물가 둔화를 기대하고 있지만 여건상 쉽지 않은 상태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농산물과 유가 등을 제외한 근원물가가 3.8%나 올라 물가 상승 압력이 크다”고 지적했다.

물가당국인 정부와 한은의 뒷북 대응에 대한 비판도 다시 고조되고 있다. 정부는 물가가 오를 대로 오른 1월 초에도 5% 고성장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않았고 한은은 선제적 금리 대응에 실패했다는 것이다. 정부는 4일 농수산물유통공사(aT)에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농산물 수급안정대책 등을 논의키로 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