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MRO 사업서 손 뗀다… “비핵심 사업 철수로 경쟁력 강화”

입력 2011-08-01 21:36


삼성이 1일 소모성 자재 구매 대행(MRO) 사업에서 철수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LG, 포스코 등 다른 대기업들도 이 같은 움직임에 동참할지 주목된다.

이인용 삼성 미래전략실 커뮤니케이션팀 부사장은 서울 서초동 삼성사옥에서 브리핑을 통해 “삼성이 MRO 사업에서 철수하고 삼성전자 등 9개 계열사가 보유한 아이마켓코리아(IMK) 지분 58.7%를 매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비핵심사업 철수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결정이라는 게 이 부사장의 설명이다. MRO 사업은 기업의 유지, 보수, 운영 등에 필요한 소모성 자재를 구매 대행하는 사업으로 삼성은 2000년 12월 IMK를 설립해 관련 사업을 10년간 운영해왔다.

이 부사장은 “지분을 매각하더라도 삼성으로서는 IMK가 공급하는 회사가 1만개가 넘고 취급 품목이 40만개가량 되기 때문에 IMK를 통해 자재를 구매하는 구조 자체를 바꾸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IMK를 자회사로 두지 않겠지만 이 회사를 통한 소모성 자재 조달은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삼성은 일단 자체적으로 보유한 지분 전량을 매각한다는 방침이지만 지분 인수자가 원할 경우 최소한의 IMK 지분을 보유할 의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IMK 지분은 삼성전자·삼성물산 각 10.6%, 삼성전기 10%, 삼성중공업 7.2%, 삼성SDI 5.5%, 삼성엔지니어링 5.3%, 삼성코닝정밀소재 3.9%. 삼성에버랜드 및 제일모직 각 2.8%를 보유하고 있다.

삼성이 지난 5월 25일 IMK의 사업 범위를 계열사와 1차 협력사의 물량 이외 신규 영업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데 이어 철수라는 강수를 들고 나온 것은 정부의 전방위 압박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올해 들어 대기업들이 중소기업 영역인 MRO 사업까지 진출하는 것은 문제가 있고, 더욱이 대기업들이 오너 일가 소유의 MRO 회사를 세워 편법 대물림을 하고 있다며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등을 실시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지난달 “대기업이 MRO 자회사에 일감을 몰아줘 이익을 내는 것은 합법을 가장한 지하경제”라며 “앞으로 철저히 과세할 것”이라고 압박 수위를 높였다.

삼성이 MRO 사업 철수를 발표하자 다른 대기업들도 고민하기 시작했다. LG 고위 관계자는 “우리 사회에서 대기업의 MRO 사업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면 LG도 그와 같은 방향을 따라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기준 대기업 계열 MRO 가운데 가장 높은 매출을 올린 곳은 LG의 서브원(3조8478억원)이다. 이어 삼성 IMK(1조5492억원), 포스코의 엔투비(6036억원), 웅진홀딩스(5370억원), 코오롱 코리아 이플랫폼(4639억원), SK의 코리아 MRO(1028억원) 등 순이다.

이명희 김수현 기자 mh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