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연봉 9000만원 받으며 파업결의 하나
입력 2011-07-31 17:53
산업은행 정규직 평균연봉 9150만원, 수출입은행 8627만원. 금융감독원 등 10개 금융공기업 직원 평균 연봉 7145만원. 산업은행 등 16개 은행을 포함해 34개 금융기관 노동자를 지회로 두고 있는 금융노조가 임금 8%+α 인상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결의했다. 이외에도 MB정권 노동탄압 분쇄, 신입직원 초임 원상회복, 성과연봉제 도입 금지 등을 요구하며 전체 조합원에게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93.2%란 압도적 지지를 얻었다고 밝혔다.
노동조합이 조합원의 복지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의무이기도 하고 권리이기도 하다. 또 다른 직종에 비해 연봉을 많이 받는다고 임금인상을 자제해 달라고 요구하는 것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아무리 고액 연봉이라도 생산성이 높다면 사용자를 상대로 임금인상은 요구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금융노조의 주장이 무리라고 섣불리 단언할 수는 없다. 더욱이 금융노조는 전국 9000여 분회 조합원 9만2634명 가운데 6만8472명이 투표에 참가해 6만3824명이 찬성표를 던졌기에 정당성도 확보하고 있다.
우리는 금융노조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일괄적으로 20% 가량 삭감된 신입직원들의 초임을 원상회복 시켜달라는 것은 타당성이 있다고 본다. 이제 어느 정도 위기가 해소된 마당에 조직 내부 다른 구성원과의 관계를 위해서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최고 9000만원을 넘는 연봉을 받는 사람들이 1억원 넘게 임금을 올려달라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독점적 위치에 있는 금융기관이 적지 않은 마당에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산업은행이나 수출입은행 등은 경쟁자가 거의 없다. 이런 기업들이 생산성이 높아졌다 해서 임금을 올려달라는 것은 말이 안된다.
금융권에는 저임금과 불완전 고용에 시달리는 비정규직도 적지 않다. 또 우리 사회에는 대학을 졸업하고도 제대로 된 일자리를 찾지 못한 88만원 세대들도 있다. 무엇보다 청년실업 100만 시대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8%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금융노조의 주장은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이란 비난을 들을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