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희망버스 7월 30일 부산 집결 강행… 한진重 사태로 주민들과 충돌 예고

입력 2011-07-30 00:32


부산항 입구에 있는 인구 15만명의 작은 섬 영도는 폭풍전야다. 한진중공업의 정리해고를 반대하는 제3차 희망버스 강행과 이를 육탄저지하려는 주민들의 일전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희망버스 기획단은 29일 성명서를 통해 “1만여명 이상의 제3차 희망버스 참가자들이 김진숙 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을 포함한 정리해고자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산으로 향하겠다”며 “수해를 당한 영도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기획단은 희망버스와 희망의 자전거, 희망의 비행기, 희망의 배 등을 이용해 전국 50여곳에서 30일 오후 6시 부산역과 서면, 온천장, 시민회관 앞, 비프(BIFF)광장 등 10여곳에 집결해 촛불집회를 가진다는 계획이다. 그 후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로 이동해 대동마당과 록 페스티벌 등 문화 행사를 갖는다는 방침이다.

영도구 11개동 주민자치위원장협의회는 이날 비상대책회의를 갖고 “영도 지역은 절영로 해안순환도로가 붕괴되는 등 수해를 당해 전 주민이 복구에 매달려야 할 처지”라며 “제3차 희망버스 행사가 강행될 경우 진입을 몸으로 저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협의회 박태석(63) 회장은 “15만 주민 모두가 희망버스의 영도 진입을 반대하는데도 불구하고 행사를 강행할 경우 ‘뜨거운 맛’을 보게 될 것”이라며 “불상사가 발생할 경우 모든 책임은 희망버스에 있다”고 강조했다.

절영로는 편도 1차로가 30m가량 붕괴돼 차량 통행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복구에는 1개월 정도 걸릴 예정이다. 이 때문에 영도 지역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20개 노선 290대의 차량 대부분이 한진중공업 앞 도로인 태종로를 이용하고 있다. 희망버스 집회로 태종로 일대 도로가 통제될 경우 섬 전체 고립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경찰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희망버스 참가자들이 불법 행진을 하거나 국가 주요 시설인 조선소에 침입하는 등 명백한 불법행위에 대해 엄정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합법적·평화적으로 진행되는 집회와 행사는 철저히 보장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한진중공업 이재용 사장이 이날 정리해고 철회를 주장하며 200일 넘게 크레인 농성 중인 김진숙 위원과의 면담을 시도했지만 무산됐다. 이 사장은 전날 12분간 휴대전화 통화에서 “회사가 정상화되면 해고 근로자를 우선 채용할 테니 크레인에서 내려와 달라”고 요청했고, 김 위원은 “정리해고를 철회하면 내려갈 것”이라고 답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