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재무부 협상실패 대비 ‘비상계획’ 마련… 진짜 디폴트 된다면?
입력 2011-07-29 20:24
Q. 미국이 부채한도 증액 협상에 끝내 실패해 디폴트(채무 불이행) 사태에 직면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A. 사회복지 프로그램 수혜자 등이 정부로부터 돈을 받지 못하면 경제에 악영향을 준다. 투자자는 미국에 투자할 때 높은 금리를 요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든 금리가 치솟아 소비자는 패닉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만 달러를 빌린 경우 연이자가 100∼200달러씩 오를 수 있다.
뉴욕타임스(NYT)가 28일(현지시간) 채무한도 증액 협상과 관련한 일반인의 궁금증을 질의응답(Q&A) 형식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NYT는 ‘다른 나라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 “이미 시장에서 위험성이 반영되기 시작했다”며 “스위스 프랑은 이번주 달러화에 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일부 채권투자 펀드는 캐나다나 멕시코, 중국 채권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고 답했다. 중국 등 미국 채권 보유국이 한꺼번에 미국 국채를 투매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일부 투자자들은 이미 미 단기 국채를 팔아치우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음달 4일 만기 도래하는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0.2% 포인트 뛰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 재무부가 부채 협상 합의 실패 시 채권단에 이자지급 우선권을 주는 비상계획(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해 놨다고 보도했다. 다음달 4일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은 900억 달러이며 300억 달러 이상의 이자를 다음달 15일까지 지급해야 한다. 8월에 지급해야 할 전체 국채 원리금은 5000억 달러 규모다. 미 재무부는 29일 오후 디폴트 시 어떻게 채무 상환을 진행할지 등이 담긴 계획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김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