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통합, 민주 빼고…” 민노·진보, 공개적 거부
입력 2011-07-28 18:48
민주당이 10개월 이상 야심차게 추진해 온 야권대통합론이 ‘실현 불가’ 쪽으로 거의 판명돼 물 건너가는 분위기다.
민주당은 연말 전당대회 일정 등을 감안해 대통합 논의의 ‘마지노선’을 오는 10월까지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핵심 대상인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에서는 종전 내부적으로만 불만을 표시하던 수준을 넘어 이젠 아예 공개적이고 노골적으로 거부 목소리를 내고 있는 실정이다.
진보신당 노회찬 상임고문은 28일 YTN 라디오에 출연해 “민주당이 통합 문제를 제기하는데, 동의하는 야당이 하나도 없어 성사가 안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비현실적 통합 논의보다는 야당들이 단결해 내년 양대 선거를 어떻게 승리할지에 대한 현실적 문제를 논의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민주당 측에 제안해 놓은 상태”라고 밝혔다.
민노당 이정희 대표는 전날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은 진보정당 통합의 대상이 아니다. 서로 정당구조가 전혀 다르다”면서 “계파정치에 머물러 있는 정당과, 당원민주주의를 실현하며 한국 정치의 미래를 이끄는 정당이 합당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이 대표는 “불가능하고 부적합하다”는 발언까지 했다.
민주당 내에서도 대통합은 비현실적이라는 의견이 힘을 받고 있다. 정세균 최고위원은 이날 ‘통합과 연대에 관한 입장’이라는 보도자료를 내고 “더 이상 정치적 수사(修辭)로서의 통합이 아니라 통합을 위한 진정성 있는 행동이 필요한 때”라며 “정책연대를 위한 회의체를 즉각 가동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정 최고위원은 민노당, 진보신당과의 통합은 현실적으로 시간이 없으니 일단 배제하고 친노(親盧), 부산·경남(PK) 민주세력 등과 먼저 합치자는 ‘선도통합론’을 주창하고 있다.
민주당 대통합론자들의 패색이 짙어가는 반면 민노당과 진보신당 간 소통합 논의는 상대적으로 순항하는 분위기다.
노 상임고문은 “(양당 간 분당의 원인이 됐던) 종북주의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이 됐다”며 “상당히 비싼 수업료를 내고 소중한 교훈을 얻은 만큼 다시 갈라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도 “9월 안에 반드시 진보정당 건설을 마치겠다”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통합 진보정당을 건설하면 내년 4월 총선에서 20석은 무난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게 양당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이런 상태로 시간이 흐르면 결국 총선에 임박해 민주당과 통합 진보정당이 선거구별 후보단일화 정도로 야권연대를 진행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김호경 기자 hk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