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이병천 교수팀, 특정 약물 먹이면 형광색 띠는 형질전환 복제개 생산에 성공

입력 2011-07-27 19:14

서울대 수의대 이병천 교수팀은 특정 약물을 먹이면 형광색을 띠는 형질전환 복제개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사람과 유사성이 많은 개과 동물을 쥐 대신 질병 연구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연구진은 비글 종 개에서 얻은 체세포에 해파리 등에 존재하는 녹색형광유전자(GFP)와 함께 항생제 독시사이클린의 반응 유무에 따라 발현 ‘스위치’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주입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세포를 핵이 제거된 난자에 넣어 수정란을 만들고 이 수정란을 대리모 개에 착상시켜 ‘테곤이’를 얻었다. ‘테곤이’는 테트라사이클론 계통 항생제를 먹이면 유전자가 발현된다는 의미의 ‘텟-온(Tet-on)’에서 따온 이름이다.

연구진은 테곤이가 평상시 일반 비글개와 똑같지만, 독시사이클린을 투여하자 2주 후에 녹색 형광 유전자가 발현해 자외선을 비추면 형광색을 띠었다. 약물을 끊자 9주 후에는 다시 형광색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 교수는 “필요할 때만 원하는 유전자(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는 뜻으로, 향후 형광 유전자를 넣은 자리에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과 같은 특정 질병 유전자를 넣어 필요할 때 발현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질병 모델 동물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제네시스(Genesis)’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