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식량 분배투명성 등 보장하면 이번 회담서 지원 결정될 가능성
입력 2011-07-27 21:16
28∼29일 뉴욕에서 열리는 북·미 고위급 회담에서 북한 식량 지원은 결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 소식통은 26일(현지시간) “미 정부가 조만간 대북식량 지원을 결정할 것으로 안다”며 “북한이 이번 회담에서 분배 투명성 등에 대해 전향적 자세를 보이면 대북지원 문제가 긍정적 방향으로 결론 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북·미 고위급 회담에는 국무부의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 클리포트 하트 6자회담 특사 외에 대북식량 지원 문제 등을 전담하는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도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킹 특사는 지난 5월 식량평가단을 이끌고 북한을 방문, 북한 식량상태를 점검하고 분배 모니터링 문제도 논의하고 돌아왔다.
미국은 대북식량 지원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의 분배 투명성 보장과 2009년 식량지원 요원 추방 시 북한에 남아 있던 잔여분 2만t 문제가 먼저 명확히 해결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북한이 이번 회담에서 두 문제에 대해 확실한 보장과 설명이 있으면, 미국 정부는 식량 지원을 결정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는 지난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가진 외교장관 회담에서 대북식량 지원 문제에 대한 조율을 거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정부도 지난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된 이래 처음으로 이날 밀가루 300t 북한 반입을 승인했다. 이 밀가루는 대북지원단체가 북한 사리원시의 탁아소와 유치원 등에 전달하는 것이다. 연평도 도발 이후 8개월여 동안 사실상 밀가루 지원은 금지됐었다.
한국 정부는 그동안 대북식량 지원에 대해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았다. 킹 특사는 지난 6월 3일 의회 청문회에서 “한·미가 북한 문제와 관련해 많은 이슈에 동의하지만 일부 문제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면서 “한국은 우리가 식량지원을 하지 않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뉴욕=김명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