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부·한은 “물가 안정 최우선”

입력 2011-07-25 18:50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첫 거시정책협의회를 열었다.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재정부와 통화정책을 맡은 한은은 물가안정을 최우선 순위에 두기로 입을 모았다. 우리 경제의 최대 위협요인이 물가라는 데 뜻을 같이했다.

임종룡 재정부 1차관과 이주열 한은 부총재는 2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첫 번째 거시정책협의회를 가졌다. 두 기관은 매월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기로 했으며 다음 달 경제 현안을 주요 안건으로 2차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임 차관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각각 담당하는 거시정책의 적시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협의회를 열게 됐다”며 정책당국 상호협력, 정보공유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이어지자 미국, 영국 등 주요국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참여하는 정책협의체를 신설했다.

재정부와 한은은 한목소리로 물가를 우려했다. 임 차관은 “정부로서는 가장 중점 점검이 필요하고 적극적 정책 대응을 모색하는 분야가 물가”라며 “국제유가, 날씨 등 공급 측 요인에 따른 물가 상승에 최근에는 수요 측면의 상승요인이 가세하고 있다”고 걱정했다.

두 기관은 우선 각국이 물가 상승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우리가 활용할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주요국의 물가 불안이 수입물가를 통해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 물가구조 분석 등을 중점 연구과제로 선정하고 결과를 공유하기로 했다.

또한 커지고 있는 세계경제 리스크를 집중 점검키로 했다. 유럽 재정위기가 여전한 데다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이 표류하고 있어서다. 최근에는 신흥국의 높은 인플레이션과 긴축 강화 가능성까지 고개를 들고 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