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금강산 관광 실무회담 7월 29일 열자”
입력 2011-07-25 18:41
정부는 25일 북한에 통지문을 보내 금강산 관광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당국 간 실무회담을 29일 금강산에서 개최하자고 제의했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정부는 통일부 교류협력국 명의로 금강산 관광 사업과 관련한 당면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실무회담을 갖자고 북한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에 통지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천 대변인은 “북한이 회담에 응한다면 금강산 관광 시설물의 재산권 보호가 최우선 과제가 될 것”이라면서 “정부는 관광객 신변안전 보장과 투자 관련 기존 계약 및 합의에 대한 신뢰와 준수라는 금강산 관광 사업의 기본 원칙이 지켜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지난해 11월 연평도 포격 사태 이후 중단된 민간 차원의 대북 밀가루 지원을 8개월 만에 승인했다. 이번에 승인된 지원량은 400t이다. 이에 따라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는 26일 밀가루 300t(1억8000만원 상당)을 황해도 사리원시 탁아소와 유치원 소아병원에, 천주교는 28일 밀가루 100t을 황해도 인민병원 등에 지원한다.
통일부 당국자는 “앞으로 민간단체의 밀가루 지원 요청이 있을 경우 북측과 단체들의 분배 대상, 양 등에 대한 합의 여부 등을 기준으로 승인할지를 검토하겠다”면서 “그러나 정부 차원의 식량 지원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22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가진 남북 비핵화 회담에서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가동 중단 조치가 선결돼야 6자회담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북측에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태도변화 없이는 어떤 협상도 진행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UEP를 포함한 모든 핵 프로그램 중단,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복귀 등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을 보여주는 조치를 취해야 6자회담이 열릴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도 북한과 이런 사전 조치 없이 시간만 끄는 협상은 하지 않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이번 비핵화 회담으로 대화 과정이 복원된 만큼 앞으로는 콘텐츠(내용)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흥우 선임기자,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