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北, 도발 사과부터 해야”-민주당 “천안함·연평도 미제로 남겨두고 6자회담을”
입력 2011-07-25 22:17
비핵화 회담을 계기로 남북관계가 오랜만에 해빙 분위기로 접어들자 정치권도 일단 환영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회담 진전의 해법에 대해서는 여야 간 의견이 또 충돌하는 상황이다. 한나라당은 무엇보다 천안함·연평도 사태에 대한 북측의 사과가 수반돼야 한다는 데 방점을 찍고 있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25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남북 비핵화 회담을 환영한다”면서도 “북한은 조속히 천안함과 연평도 사태에 대해 충분한 사과를 함으로써 회담에 실질적인 진전이 있도록 뒷받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황 원내대표는 “(남북 비핵화 회담이) 북한의 북·미회담을 위한 절차적 수준에서 끝나지 않았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유승민 최고위원은 “그동안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가 천안함·연평도 사태에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를 남북대화 재개의 조건으로 걸어왔다”며 “유야무야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과와 재발방지를 더 이상 요구하지 않기로 한 것인지, 아니면 여전히 유효한지 대통령과 정부의 입장을 국민들에게 분명히 밝히고 넘어가야 할 시점”이라며 “임기 말에 정상회담이나 남북 간에 그냥 대화를 위한 대화가 정치적 목적으로 추진돼서는 안 된다”고 못박았다.
반면 민주당은 해빙 무드를 계기로 전제조건 없이 남북 정상회담을 재추진하고 대북 지원까지 재개할 것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손학규 대표는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남북대화를 이뤄나감에 있어 안 되는 조건보다는 되는 조건을 말하고, 대결적인 이념으로 접근하기보다는 민생과 경제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대통령에게 정상회담을 다시 한번 추진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인영 최고위원은 “한나라당 의원들이 6자회담의 전제조건으로 천안함·연평도 사태에 대한 책임을 추궁해야 한다고 하는데, 전제조건이 있으면 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은 줄어든다”며 “차라리 미제 사건으로 남겨두고 6자회담을 진행하는 것이 더 선(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호경 유성열 기자 hk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