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고졸 채용 논란] 정부가 적극 발벗고 나선 이유는… 총선 ‘득표’ 카드로 활용

입력 2011-07-25 18:26

“윗선에서부터 ‘고졸 채용’ 드라이브가 걸린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금융당국과 정부의 고졸 신입사원 채용 독려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고졸 채용 열풍에 정치적 함의가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실제 업계에서는 선거철을 앞두고 청와대와 정부가 ‘반값 등록금’과 ‘청년 실업자 증가’ 등 현안 타개책으로 ‘고졸 채용’ 카드를 택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지난달 말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애로층은 전 정권 당시인 2005년보다 4.2% 포인트 증가한 19.3%, 5명 중 1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졸 이상 청년 159만여명 중 실업자와 취업 준비자, ‘그냥 쉰다’고 답한 취업애로층이 총 30만8000여명에 달한 것이다. 또한 고졸 이하의 체감 실업자는 무려 55만2000여명이었다.

사회 일각의 ‘반값 등록금’ 주장이 많은 호응을 얻고 있는 점도 정부가 ‘고졸 채용’에 집착하는 이유라는 지적이 많다. 반값 등록금 주장이 대학 진학률이 지나치게 높다는 점에 착안하고 정권 초기 힘을 실었던 ‘마이스터고’ 설립 및 진학을 활성화하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정부와 금융당국은 이 같은 시각을 경계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1990년대 외환위기 이전만 하더라도 금융권에는 고졸 채용이 일반적이었지만 2000년대 한동안 신규 인력을 뽑지 않은 뒤 학력 제한이 철폐되면서 업무 종류에 관계없이 대졸자를 뽑는 경향이 생겼다”고 설명하면서 “이번에 금융권에 고졸 채용을 독려한 것은 각 업무에 적합한 사람을 뽑자는 취지”라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지난주 기업은행을 방문한 것은 고졸 채용 소식을 들은 뒤 힘을 실어주려고 한 것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그런 분위기(금융권의 채용 독려)가 있다면 청와대가 의도한 바와 다르지 않다”면서 “정권 초기에 마이스터고 등을 만든 취지와도 맞다”고 설명했다.

황세원 기자 hws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