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부품 교체”… KTX 사고 멈출까

입력 2011-07-24 18:35


정부가 고속열차(KTX) 안전대책을 또 내놨다. 노후됐거나 문제를 일으킨 부품 교체를 서두르기로 했다. 그러나 교체 완료까지는 1년 정도가 소요될 전망이다. 그동안 고장 사고는 계속 일어날 수밖에 없는데 정부는 예산 핑계를 대고 정비인력을 충원할 계획도 없어 여전히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24일 ‘KTX 안전 강화를 위한 추가 개선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4월 안전대책을 발표했지만 5∼7월에도 10건의 고장을 일으켜 운행 중 비상 정차하거나 차량이 긴급 교체된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36개의 추진 과제를 새로 내놨다. 지난 4월 46개의 과제를 발표했지만 허점이 많았다는 방증이다.

정부는 고장을 계속 일으키는 부품 전량을 조기 교체키로 했다. 전기량을 조절해 열차 바퀴를 움직이는 모터블록, 직류전력을 교류로 혹은 그 반대로 바꿔주는 인버터 등이다. 지난 4월 대책의 일환으로 시작된 2만여개의 부품 교체 계획과는 별개다. 모든 차량에 대한 일제점검도 실시한다. 프랑스에서 수입된 지 10년이 지난 KTX-1은 고장의 80%가 노후된 부품 때문에 발생했다.

그러나 부품 교체는 내년 6월에나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KTX 안전강화대책 점검반장을 맡고 있는 김기환 철도연구원 고속철도연구센터장은 “전체 46편, 960량에 달하는 KTX-1의 부품을 일시에 다 바꾸긴 어렵다”고 말했다. 내년 상반기까지 KTX 고장이 계속될 것이란 얘기다. 그러나 국토부 관계자는 “그 정도는 이해해야 한다”며 대수롭지 않게 말했다.

국토부는 KTX 정비단에 품질관리 전담조직을 신설키로 했다. 정비인력 중 경험 많은 고참자로 구성된다. 그러나 정비인력은 충원하지 않고 이런 식의 인력배치를 한다면 1차 정비는 나빠지고 품질관리 전담조직에는 재정비 부담이 가중돼 결국 정비 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토부는 차량 정비 외주업체 관리 및 관제기능 강화, 신호설비 국산화 추진, 교육훈련 실효성 제고 등의 대책도 새로 내놨지만 대부분이 중·장기 과제다. 당장 벌어지는 KTX 고장을 막기에는 효과가 없다. 때문에 정부가 지난 4월 발표 내용을 재탕했고 KTX 고장의 심각성을 여전히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올 들어 KTX는 지난 22일까지 36번의 고장을 일으켰다. KTX-1 15건, 현대로템이 제작해 지난해부터 운행되기 시작한 KTX산천 21건 등이다.

김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