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졸 채용, 정규직 전환으로 이어져야

입력 2011-07-22 18:37

최근 들어 금융권을 중심으로 불고 있는 고졸자 채용붐은 대학등록금 반값 파동이 낳은 부산물이다. 비싼 등록금은 과도한 대학진학률이 빚은 결과이고, 이는 고졸자에 대한 채용의 문이 좁았다는 반성을 낳기에 이른 것이다. 걷잡을 수 없는 학력 인플레와 망국적인 사교육 열풍을 고치는 대안적 성격도 가미됐다. 우리 사회의 자정능력을 확인하는 지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런 현상에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은행에서 시작된 고졸 채용의 속을 뜯어보면 교육정상화의 길과는 거리가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고졸 행원에 대한 신분이 예전과 별반 다를 게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창구업무를 맡기기 위해 2년짜리 계약직으로 뽑았다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하지만 정규직과는 신분의 차이가 크다. 이래서는 고졸 행원 채용의 의미가 반감된다. 기껏 업무능력을 검증받아도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길이 요원하다면 창구의 꽃으로 활용되다가 시들어버릴 것이다. 일시적인 인기영합책으로 고졸 채용을 내세워서는 안된다는 이야기다.

정부의 의지도 문제다. 정부가 관리감독하는 공공기관의 경우 별도의 인사운영지침에 따라 학력차별을 원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아예 학력표기를 못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막상 55개 공공기관의 고졸 채용률은 고작 1.1%에 그친 것으로 나와 있다. 고학력자가 넘치는 세상에 고졸자를 위해 학력차별을 금지한 것이 오히려 부메랑으로 돌아온 것이다. 정부가 공공기관을 평가할 때 고졸-전문대졸-대졸이라는 취업생태계를 유지하는 곳에 가점을 주는 방안을 강구하면 이런 모순을 바로잡을 수 있겠다.

또 하나 유념해야 할 것은 고졸자에 대한 시각이다. 일각에서는 고졸자를 무조건 사회적 약자로 보고 보호하려 든다. 많은 사람이 야간대학이라도 진학하라고 부추기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고졸자는 그 자체로 떳떳하고 당당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사회 분위기가 필요하다. 이미 여러 선진국에서 그 사례를 보듯 마이스터고에서 닦은 실력으로 적절한 일자리를 찾아 해당분야 최고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 최선의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