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선택적 디폴트’ 허용 가닥…유로존 17개국 긴급 정상회담
입력 2011-07-22 01:34
유로존 17개국 정상들이 21일(이하 현지시간) 그리스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차 구제금융을 제공하되 ‘선택적 디폴트(채무 불이행)’를 허용키로 가닥을 잡았다. 또 그리스뿐만 아니라 포르투갈, 아일랜드 등 이른바 피그스(PIGS) 국가들에 구제금융 지원 시 금리를 인하해주거나 상환 기한을 늘려주기로 합의했다.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유로존 긴급 정상회담에서는 향후 8년 안에 만기를 맞는 그리스 국채를 소유한 민간 채권단이 그리스가 새로 발행하는 30년 만기 국채로 교환(스와프)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접근을 이뤘다. 그리스 채무의 만기를 연장,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민간 채권단 입장에서는 손실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선택적 디폴트를 허용하는 셈이라 최종 결정되는 데는 며칠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이 방안은 당초 프랑스가 제안하고 독일이 거부했으나 국제사회의 전방위적인 압박으로 합의에 이르게 됐다. 이럴 경우 그리스 채무를 900억 유로가량 더 줄일 수 있다고 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밝혔다.
유로존 정상들은 그리스와 포르투갈, 아일랜드와 같이 재정 문제가 발생하는 국가에 구제금융 지원 시 금리를 4.5%에서 3.5%로 낮추되 상환 기간은 7.5년에서 15년으로 연장하는 합의문 초안에 합의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이와 함께 3500억 유로에 이르는 그리스의 국채 발행액 일정 부분을 사들이기 위해 ‘위기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 등에 대해서도 논의됐다. 하지만 유럽연합(EU) 집행위가 제안한 ‘유로존 은행 과세를 통한 재원(500억 유로) 마련 방안’에는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그리스 채권에 상대적으로 덜 노출된 금융사도 함께 고통을 분담해야 된다는 측면에서 제시됐지만 은행들의 반발을 감안했다.
하지만 그리스 재정위기가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보다 강한 결정이 나오기 전까지 한동안 표류할 것이란 얘기다. 특히 신용평가사들이 ‘선택적 디폴트’에 대한 등급을 새롭게 부여할 경우 후폭풍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은행 등 금융기관으로 구성된 민간 채권단에 추가 부담을 주는 것에 대한 비판도 나온다.
한편 뉴욕증시는 그리스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해법 초안이 전해지면서 투자심리가 살아나 큰 폭의 상승세로 시작했다. 이날 오전 9시51분 현재 다우산업평균지수는 전일보다 95포인트 오른 1만2667.27을 기록했다.
김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