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희망버스’가 아니라 ‘절망버스’라는데
입력 2011-07-20 19:02
오는 30일 3차 ‘희망의 버스’ 행사를 앞두고 부산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 내 타워크레인에서 농성 중인 김진숙씨를 응원하려는 희망버스 참가자들과 희망버스에 반대하는 시민들, 그리고 희망버스의 불법행위를 엄단하겠다는 경찰이 충돌할 가능성 때문이다.
행사를 추진 중인 진보·노동단체에 따르면 3차 참가자는 3만여명이라고 한다. 1, 2차 때처럼 이들은 3차 때도 버스에 나눠 타고 부산으로 가 집회를 갖고 시위를 벌일 것으로 보인다. 분위기를 고조시키려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 관계자들은 벌써부터 부산역 광장에서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철회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앞서 두 차례 희망버스 때 격렬한 시위로 고통을 당했던 영도구 주민을 비롯한 대다수 부산 시민들은 희망버스를 막겠다는 입장이다. 일관된 논리는 외부세력의 한진중공업 사태 간여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어제 부산상공회의소에서 ‘한진중공업 사태 외부세력 개입 반대 범시민대책협의회’가 발족된 데에서도 이런 민심이 분명히 읽힌다. 특히 영도구 내 자영업자들은 피서 절정기에 돌과 최루액이 난무할 경우 1년 장사를 망칠 수 있어 희망버스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들은 3차 ‘희망의 버스’는 ‘절망의 버스’요, 애물단지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진중공업 사측 잘못이 없지 않을 것이다. 집회 및 시위의 자유가 보장돼야 한다는 것도 맞다. 그러나 노사 합의로 경영이 정상화돼 가는 과정에 제3자들이 끼어들어 사회문제, 정치현안으로 비화시킨 것은 온당치 않다. 부산지역 여론이 나쁜 것을 의식해 진보·노동단체들 사이에선 도로가 아닌 바다에서 행사를 갖는 이른바 ‘희망배’로 바꾸자는 등의 아이디어가 나오고 있다고 한다. 그러지 말고 3차 희망버스 계획 자체를 재고하는 게 맞을 것 같다.
한진중공업 사태에서 정치적 이득을 챙기려는 일부 정치인들이 지금도 눈에 띈다. 정치인의 주역할 가운데 하나가 갈등 해소다. 정말이지 정치인들은 빠져줬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