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사회적 기업으로 키워낸다… 변화 주도할 상인조직 미약해 성과 미지수
입력 2011-07-20 21:27
정부가 2013년까지 전국 100곳의 전통시장을 사회적 기업으로 키운다. 전통시장을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재투자 하는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시켜 시장 활성화, 고용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운영주체인 상인 조직들의 역량이 부족해 ‘위로부터’의 변화가 성과를 낼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기획재정부는 20일 열린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전통시장 사회적 기업 도입방안’을 정부 합동으로 추진키로 결정했다. 정부는 이미 지방자치단체에서 인증을 받은 예비 사회적 기업인 온양온천 전통시장, 부산 부전시장 등 4곳을 1차로 지원해 성공모델을 발굴한 뒤 상인회나 상권관리기구 등에 이를 보급할 계획이다. 올해 10곳, 내년 30곳에 이어 2013년에 60곳을 추가로 육성해 모두 100곳의 사회적 기업을 만든다는 게 목표다.
사회적 기업은 이익을 지역 사회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대신 인건비·사회보험료 지원, 법인세·소득세 감면 등의 혜택을 받는다. 정부가 전통시장 사회적 기업화를 선택한 이유도 전통시장을 하나의 기업으로 육성시켜 경쟁력을 늘리는 한편 지역 일자리 창출 등 효과를 끌어내려는 데 있다.
하지만 사회적 기업의 주체인 상인회 조직이 미약한 현실에서 정부 정책이 힘을 받기 힘들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국 1333개 전통시장 중 상인회가 법적 단체인 경우는 70.9%, 상근 직원이 있는 시장은 40.4%에 불과하다. 박재완 재정부 장관도 “시장 발전을 주도할 상인조직을 갖춘 시장이 일부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전통시장 스스로 고객이 원하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자생력을 갖추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 장관은 이날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과 함께 수유 재래시장을 찾았다. 박 장관은 “전통시장이 스스로 노력하면 소비자가 더 많이 찾고 정부도 적극 뒷받침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유 시장은 전국 최초로 쿠폰제를 도입하고 상품 구입 시 택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