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보호’-‘성공 개최’ 이끌 대안 찾기 골몰

입력 2011-07-19 18:03


‘으하하! 평창 될 줄 알았어’ ‘한국 올림픽 완성, 강원도 재탄생’ 등의 플래카드가 곳곳에 걸려 있다. 이런 축제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기 싫은 것인지 알파인스키 활강경기장에 대한 논의는 아직 활발하지 않다. 그러나 한 번 이상의 충돌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장을 짓는 것은 불법이지만, 강원도는 특별법을 만들어 규제를 건너뛰면 된다는 입장이다.

◇대안은 없나=활강경기장을 이미 스키장으로 개발된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남북한 공동 개최를 통해 북한에서 경기장 건설 부지를 물색하는 것을 떠올릴 수 있다. 그러나 두 가지 모두 현재로서는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동계유니버시아드가 열렸던 무주에 대해 2018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관계자는 “무주 경기장은 2014년 평창과 경합할 때 국제스키연맹에서 이미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말했다. 한 개의 능선으로는 평균 해발 높이 900m가 안 나오기 때문에 능선을 연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또한 올림픽 개최 도시에서 몇 시간을 더 이동해야 하는 다른 곳에 분산 개최하는 문제는 이 시점에서 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14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가리왕산의 산림을 일부 훼손해야 하는데 애석하게도 활강경기장 코스로 적합한 곳이 거기 한 군데밖에 없다”고 말했다.

남북한 공동 개최 역시 비현실적이다. 국내 여론도 비판적이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의 재협상도 어렵다.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동계올림픽을 유치한 후 아직 잉크가 마르지도 않았다”며 “IOC와 약속한 대로 대회를 치르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의 생각은 다르다. 지금 시대에 국제사회도, IOC도 올림픽 개최를 이유로 국가적 보호구역을 훼손하는 것은 용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녹색연합은 “강원도는 사북·고한 하이원리조트, 태백 오투리조트, 평창 알펜시아 등에 스키장과 골프장을 포함한 대규모 리조트를 건설해 이미 포화상태”라며 “기존 시설을 잘 활용하면서 친환경적인 올림픽이 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산림청의 존재 이유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산림청의 자존심 상징과도 같고, 그중에서도 가리왕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조선시대부터 이어져온 보호림이다. 녹색연합 서재철 국장은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을 비롯한 각계 인사들이 가리왕산 훼손에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면서 “경기 후 결국 유휴화된 무주리조트 활강경기장을 보완해서 재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이란=산림식물의 유전자와 종 또는 산림생태계의 보전 및 학술연구 등의 목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곳을 말한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지정 유형에 따라 7가지로 나뉜다. 즉 원시림, 고산식물지대, 우리나라 고유의 진귀한 임상, 희귀식물 자생지, 유용식물 원생지, 산림습지 및 산림 내 계곡천 지역, 산림생태계 보전지역 등이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는 벌채나 나무심기, 임산물의 채취, 가축방목, 토지 형질변경 행위 및 군사시설이나 사회간접자본 건설 등의 개발행위가 광범위하게 금지된다.

정선=임항 환경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