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 직전 저축銀 국조… 증인채택 싸고 연일 대치
입력 2011-07-18 22:02
국회 저축은행 국정조사가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증인채택을 둘러싼 여야 간 입장차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국조특위가 19일 예정대로 전체회의를 열 경우 양측이 정면으로 충돌할 가능성마저 엿보인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18일 오후 비공개로 간사 회의를 가졌다. 증인채택 문제를 논의하려 했지만 회의는 성과 없이 50분 만에 끝났다. 민주당이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 김황식 국무총리 등을 증인으로 부를 것을 요구했고, 한나라당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섰기 때문이다.
특위는 이번 주 내내 증인채택을 둘러싸고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근 새롭게 의혹을 받고 있는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도 (증인으로) 예외가 될 수 없다“고 압박했다. 특위 소속 한 민주당 의원은 “이번 주까지는 여권과 관련된 저축은행 비리를 계속 폭로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우제창 의원은 보도자료를 내고 부산저축은행이 정선태 법제처장, 은진수 전 감사위원 등 이명박 정부의 고위 관계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선물을 돌리며 관리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우 의원이 제시한 ‘2010년 고기 발송 명단’이라는 이름의 문건에는 로비스트 윤여성씨, 정 법제처장, 은 전 감사위원, 조은옥 ㈜햄튼 대표이사 등이 포함돼 있다.
분수령은 19일이다. 한나라당은 이날 국조특위 전체회의를 소집해 지금까지 합의된 증인 60여명에 대해 우선 의결한다는 방침이다. 한나라당 소속의 정두언 특위 위원장은 “추가 증인 채택 여부에 대해선 1주일 정도 더 합의해보자고 야당에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만약 한나라당이 비교섭단체 의원을 확보해 강행처리를 시도한다면 국조는 파행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 민주당은 19일 오전 국조특위 전체회의 참석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여야 모두 내심 국조를 원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하고 있다.
국조가 열릴 경우 상대방 수장을 대상으로 난타전을 벌일 수밖에 없고 이럴 경우 각자 손익계산서가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우리가 요청한 증인을 받아들일 수 없으니, 아예 국조를 파행으로 몰고 가려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특위 소속 한 한나라당 의원은 “국감에 들어가면 민주당이 수세에 몰릴 수밖에 없으니 되지도 않은 얘기로 맞불을 질러 국감을 무력화시키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여야 모두 국조 파행 책임을 상대방에게 떠넘기는 여론전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김원철 한장희 기자 won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