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지역별 침수피해·사고 실태 따져보니… 4대강 ‘간신히’-구제역 매몰지 ‘너끈히’

입력 2011-07-17 22:08

‘집중 호우로 4대강 사업장은 잇단 사고, 구제역 매몰지 관리는 합격점.’

지역별로 예년에 비해 많은 양의 비가 장마철에 쏟아지며 4대강 공사현장에서 다리와 보가 붕괴되는 등 사고가 잇따랐다. 이를 놓고 환경단체들은 4대강 공사로 유속이 빨라지면서 피해를 키웠다고 주장하는 반면 정부는 바닥 준설로 범람 등의 홍수 피해가 오히려 줄었다며 맞서고 있다. 구제역 매몰지는 전반적으로 사전 예방과 관리가 매끄러웠다는 평가다.

◇산사태와 4대강 공사현장 피해=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7일부터 시작된 집중호우로 모두 14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476가구 1039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농경지는 38㏊가 유실됐고 5만1000㏊가 침수피해를 입었다. 도로는 646곳이 유실됐으며 시내 도로에서도 곳곳이 깊숙이 파여 교통사고를 유발했다. 하천 제방이 붕괴되거나 유실된 곳도 1728곳에 달했다. 지난달 25일 경북 칠곡군 낙동강 본류를 가로지르는 ‘호국의 다리’(옛 왜관철교) 교각 1개가 무너져 상판이 유실됐고, 같은 날 경북 상주시 낙동강 상주보 하류 200여m 지점의 둑 150m도 급류에 씻겨 내려갔다. 30일에는 경기도 여주군 남한강 강천보 임시물막이 150m 구간이 유실됐고, 이달 9일에는 경남 합천군 낙동강 합천보 지류인 미곡천을 횡단하는 공사용 임시도로 10m와 경북 안동시 낙동강 안동보 옹벽 45m가 붕괴됐다.

◇환경단체 vs 국토부, 상반된 주장=환경단체들은 4대강 사업에 따른 대규모 준설과 하천 직선화로 유속이 빨라지는 바람에 수해를 더 키웠다고 주장하고 있다. 낙동강 상주보 하류 강둑 유실에 대해 환경운동연합 이철재 국장은 “상주보는 중간이 아닌 강둑 쪽으로 수문이 설치돼 있어 물살이 빠를 수밖에 없다”며 “기본적인 설계 부실에 따른 인재(人災)”라고 지적했다.

국토부는 4대강 사업현장의 수해에 대해 주민의 인명·재산과는 무관한 피해일 뿐이며 홍수에 취약한 공사 도중 발생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장마철 집중호우에 따른 유량 증가가 원인인 만큼 인재가 아닌 천재(天災)라는 설명이다. 국토부는 4대강 사업에 따른 강바닥 준설로 본류와 지류의 홍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4대강 유역의 농경지·가옥 침수를 막는 등 홍수예방 효과가 컸다고 강조했다.

◇매몰지 현장 관리 무난=우려됐던 매몰지 붕괴나 유실 등의 극단적인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장마를 앞두고 유실 가능성이 높은 수십곳의 매몰지를 이전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확인된 침출수 유출피해는 지난 14일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매몰지와 충남 보령시 천북면 장은리 매몰지 2곳뿐이다.

이마저도 유출된 침출수는 정화조 청소 차량 등을 이용해 상당량이 수거됐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안동지회 관계자는 “빗물이 스며들어 매몰지 내 침출수가 유출될 가능성이 큰 만큼 앞으로 지자체의 매몰지 관리를 집중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종합=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