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北라인 바꿔 남북관계 개선 추진… 정부, 玄통일·김태효 靑 비서관 등 강경파 교체 검토

입력 2011-07-17 21:47

청와대와 정부 내에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현인택 통일부 장관을 비롯한 외교안보라인 교체가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대통령이 이를 수용할 경우 집권 후반기 대북정책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핵심 관계자는 17일 “현 정부 임기가 1년반 남은 상황에서 지금의 경색된 남북관계를 마냥 끌고 갈 수만은 없다는 인식이 청와대와 정부 내에 조성되고 있다”면서 “이 대통령의 지난 1일 발언도 이런 기류에서 나왔다”고 말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회의에 참석, “지난해 천안함과 연평도 사태로 불안한 정세가 조성되었지만 우리는 거기에 머물 수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 관계자는 “이에 따라 청와대를 비롯한 정부 내부 회의에서 남북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며, 북측이 우리의 진정성을 볼 수 있도록 시그널(신호)을 줄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대북 강경파로 분류되는 현 장관과 김태효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 등 외교안보라인 교체가 논의되고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원세훈 국가정보원장 교체설도 나오고 있지만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외교안보라인 교체 필요성이 나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이 대통령에게 정식으로 보고되지는 않은 것으로 안다”면서 “개편을 하더라도 북한에 잘못된 신호를 주지 않는 방향으로 이뤄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정부 내 다른 인사 개편과 함께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 대통령이 개각 등 인사를) 8월 초 저축은행 청문회 등을 끝낸 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에서 (내각에) 온 분들 복귀 시한도 있고, (5·6 개각에서) 일부 장관이 바뀌었으나 차관이 유임된 곳도 있어 인사 수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임 실장은 국회의원 출신의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 교체 등에 대해 “9월 정기국회 전에 교체할지, 후에 할지는 모르겠다”며 “일부에서는 내년 총선에 출마할 사람을 정기국회 전에 바꾸지 않으면 지역구 민원 문제 등 때문에 국회에서 시비가 있을 수 있다고 한다”고 덧붙였다.

백민정 남도영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