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명신大 쇼크, 감독기관은 뭘했나
입력 2011-07-17 17:39
교육과학기술부가 부실 대학의 첫 사례로 호명한 명신대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았다. 대학의 캐치프레이즈는 ‘책임 있는 대학, 실천하는 대학, 꼭 가고 싶은 대학’이었다. 소식란에는 국립 타이베이교육대학 등 대만의 5개 대학과 국제교류 협력을 체결한 뉴스, 이 대학 축구부가 초당대와의 경기에서 이겨 전국체전 전남 대표로 나간다는 승전보도 올라와 있다. 학사일정이 평온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교과부 감사 결과 드러난 이 대학의 경영과 학사는 충격적이다. ‘비리 백화점’으로 부를 만큼 부실 대학의 전형이다. 여기에는 늘 족벌의 문제가 있다. 설립자가 학교를 온통 지배했고, 부인은 이사장, 딸과 아들은 총장과 부총장을 맡았다. 총무처장은 조카였다. 이러니 물러난 설립자에게 생계비 1억2100만원, 아파트 관리비와 자동차 기름값을 수백만원씩 지급해도 문제가 없었다.
학사 운영을 보면 ‘대학’이라는 이름을 붙이기가 민망하다. 이 대학 알리미 사이트에 공개된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는 0원이다. 교수들은 지난해 출석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는 데도 데도 189개 과목 수강생 2만2794명에게 성적을 줬다. 졸업생 평점평균은 91.92점으로 전국 4년제 대학 중 1위다.
교과부의 조치는 유례없이 강력하다. 법인 이사진 승인을 취소하고 설립자 가족인 전ㆍ현직 총장 등을 검찰에 고발키로 했다. 남발한 성적도 무효화했다. 대학 측이 이행하지 않으면 학교를 폐쇄하고 법인을 해산할 방침이다. ‘교수 월급 13만원’으로 파문을 일으킨 전남 강진의 전문대학인 성화대에도 비슷한 제재가 이뤄질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캐내야 할 일이 많다. 1999년 명신대 설립을 신청할 때 재단이 확보해야 하는 수익용 기본재산을 허위로 제출했는데도 인가를 받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 누군가 편의를 봐준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생긴다. 또 이 대학이 교과부가 관리하는 13개 경영부실 대학이면서도 23개 학자금 대출제한 대학에 포함되지 않은 데 대해서도 설명이 있어야 한다. 국민들은 대학에 이 지경에 이르도록 감독기관이 제 역할을 다했는지 알고 싶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