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사이버 안보 전략 발표] 한국의 전략은… 인력 태부족, 아직 걸음마 단계
입력 2011-07-15 18:25
한국군은 이달 초 국방정보본부 예하 부대로 운영됐던 사이버사령부를 국방부 직할부대로 변경하는 등 사이버전 능력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최근 빈발하는 사이버 테러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현재 사이버사령부는 육군 준장을 사령관으로 400여명의 전문 요원으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평시에는 각 군에서 운용하는 인터넷침해대응팀(CERT)의 활동을 총괄하며 인터넷망과 군 전용망인 인트라넷에서 군사정보를 빼내가는 해킹 등을 방지하는 보안감시 활동을 벌인다. 네트워크화된 각 군의 지휘통제(C4I) 시스템을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15일 “군 인터넷 일부에 대한 해킹 시도가 잦아지고 있지만 사이버사령부가 본격적으로 가동된 뒤 중요한 군사 정보가 해킹당한 경우는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사이버사령부는 전·평시 수행되는 다양한 사이버전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현재도 전 세계적으로 소리 없는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 군은 우선 올해 안에 사이버전 이론과 작전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고도로 진화하고 있는 각 국의 사이버전 양상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한국적 상황에 맞게 이론을 구축한 뒤 각종 사이버전 대응 프로그램을 만들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사이버사령부는 전문 인력을 대폭 보강할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최대 500명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해커 수준의 전문성을 지닌 민간 인력을 대폭 충원할 계획이다. 전산병과 장교들을 전문요원으로 집중 양성하는 한편 안정적인 전문인력 수급을 위해 민간 대학에 사이버국방학과 신설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군의 사이버전 준비태세가 아직은 초보적 수준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고려대 임종인 정보보호대학원장은 “사이버사령부가 본격적으로 가동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은 효과적으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고 보기 힘들다”며 “우선적으로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북한은 최근 남한에 대한 사이버 테러를 위해 해킹 인력을 500여명에서 3000여명으로 크게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