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급식 수용 등 유승민 ‘용감한 개혁’ 계기 친박 ‘左클릭’ 공방 가열

입력 2011-07-14 21:40

한나라당의 주류로 부상한 친박근혜계 내부에서 복지와 감세 정책을 놓고 때아닌 ‘좌클릭’ 논쟁이 일고 있다.

사단은 박근혜 전 대표의 비서실장 출신인 유승민 의원이 ‘용감한 개혁’이란 기치를 내세우고 7·4 전당대회에 출마하면서 시작됐다. 친박계 핵심인 유 의원은 서민복지 부분에서 무상급식을 수용하고, 현 정부의 핵심 경제 기조인 감세 정책에 대해서도 소득세·법인세 추가감세 철회를 주장했다.

그러자 친박계 일각에서 ‘유 의원의 정책이 너무 좌로 갔다’는 여론이 형성됐다. 유 의원이 주장한 개혁 내용에 박 전 대표 의중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의구심과 함께 개혁적인 정책으로 중도우파(산토끼)를 지지층으로 끌어들이려다 전통적 지지층인 보수세력(집토끼)을 잃을 수 있다는 ‘집토끼·산토끼’론이 제기된 것이다.

최경환 의원은 최근 한 언론 인터뷰에서 “현 정부의 감세 같은 우파 정책에까지 ‘MB노믹스’라고 공격해선 안 된다”며 유 의원 주장을 일부 비판하기도 했다. 영남권의 다른 의원도 “친박계 내부에 유 의원 주장이 박 전 대표의 생각인지, 정책 내용이 너무 좌클릭한 것은 아닌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존재하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유 의원은 14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친박계 의원) 한두 분이 나에게 (좌클릭 관련) 우려를 표명했었다”며 “저는 당이 살길이라고 확신하고 정치인으로 책임지고 (용감한 개혁을) 얘기했을 뿐인데 이에 대해 ‘좌클릭이다, 아니다‘고 문제 삼는 건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구상찬 의원은 “유 의원이 개혁적 정책에 대해 이야기를 꺼낸 이유는 당에 도움이 된다고 여겼기 때문”이라며 “몇 가지 새로운 정책만으로 보수·진보를 구분하는 것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라고 언급했다.

또 다른 수도권 의원은 “유 의원에 대한 비판은 단순한 정책 문제 이외의 부분도 있다”며 “전당대회 이후 유 의원이 친박계 대표주자로 부각되는 걸 견제하려는 움직임도 있는 걸로 안다”고 전했다.

일단 복지와 감세정책에 대해 유 의원이 박 전 대표와 사전 교감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 의원은 “박 전 대표와 상관없이 당에 필요하다고 생각돼 여러 정책을 얘기한 것”이라며 “제 입장 때문에 박 전 대표께 부담을 드릴 생각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한구 의원도 “유 의원은 개인 소신을 밝힌 것이고 박 전 대표도 (복지와 감세에 대해) 나름대로 판단하고, 공부도 많이 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