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개발사업 ‘유상증자+납부연기+선매입’으로 정상화
입력 2011-07-13 21:25
지지부진했던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정상화 수순을 밟게 됐다. 최대 주주인 코레일이 토지대금 납부일정 연기 및 4조원 규모의 랜드마크 빌딩 선매입, 토지분납이자 경감 등 출자사인 드림허브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했다. 출자사들도 4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코레일과 용산역세권개발㈜은 13일 서울 세종로 광화문빌딩에서 이 같은 내용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정상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들은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가 4000억원의 유상증자를 단행, 현재 자본금 1조원을 1조4000억원으로 증액한다고 밝혔다. 드림허브 측은 30개 출자사의 동의를 얻어 9월 1일 1500억원, 내년 3월 31일 2500억원을 각각 증자키로 했다.
코레일도 직간접적인 자금 지원 등을 통해 사업 정상화에 동참한다. 코레일은 드림허브 측에 분양 수입이 들어오기 전 필요 자금을 마련해주기 위해 4000억원의 유상증자를 전제로 용산국제업무지구에 들어설 152층 4조1632억원 규모의 랜드마크 빌딩을 선매입하기로 했다. 당초 코레일은 1조원 규모의 지급보증과 3000억원의 유상증자를 빌딩 선매입 조건으로 내걸었다. 하지만 어려운 부동산시장 여건을 고려해 4000억원의 유상증자로 조건을 완화했다. 이에 따라 드림허브는 서울 서부이촌동 사유지 보상금 등으로 쓸 초기 사업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코레일은 이와 함께 토지대금 중도금(2조3000억원) 납부 시기를 당초 2012∼2014년에서 분양 수입이 들어오는 2015∼2016년으로 연기했다. 또 토지대금 분납이자 부과 시점을 2011년 12월에서 2013년 5월로 변경, 4800억여원의 이자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 드림허브가 내기로 한 토지 4차 매매대금 3조2000억원에 대한 현재 가치 보상금(8800억원)도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 인허가권자인 서울시는 서부이촌동 주민에 대한 보상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SH공사에 보상 업무를 위탁하기로 했다.
코레일 등은 건설사들이 지급보증 부담을 지지 않으면서 시공에만 전념할 수 있게 돼 사업 참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코레일 관계자는 “현재 국내 유수 건설사 및 외국 투자자들과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또 코레일 등은 이번 정상화 방안으로 총 6조1360억원의 재무적 효과를 얻게 돼 용산국제업무지구에 들어설 건축시설 분양가가 3.3㎡당 평균 500만∼600만원씩 인하될 것으로 내다봤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은 코레일의 용산 철도기지창 부지 등 서울 한강로 일대에 총 30조원을 투자해 국제업무시설, 호텔, 백화점, 문화시설, 아파트 등 67개동의 건물을 짓는 것이다. 2013년 6월 착공돼 당초 계획보다 1년 늦어진 2016년 12월 준공될 예정이다. 현재 사업부지 내 철도시설 이전은 거의 완료됐다. 드림허브 측은 67조원의 경제적 효과와 36만명의 고용창출, 연간 500만명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 등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