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당·청 풍경… 권력 중심축 黨으로 이동?

입력 2011-07-13 21:50


이명박 대통령과 홍준표 대표 등 한나라당 신임 지도부의 13일 오찬 간담회는 변화하고 있는 당·청 관계를 보여줬다. 이 대통령은 오찬에서 후임 법무장관, 검찰총장 인선 문제를 한나라당 지도부와 상의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홍 대표와의 독대에서도 당에 힘을 실어주겠다는 뜻을 내보였다.

이 대통령은 그동안 주요 인사에서 한나라당의 의견을 비공개로 청취한 적은 있었지만 공개적으로 “상의하겠다”고 발언한 적은 없다. 이는 지난 1월 정동기 감사원장 파동 당시와 비교된다. 당시 여당 측 반대로 정 후보가 낙마한 이후 마련된 1월 23일 안가 회동에서 이 대통령은 안상수 대표를 비판했고, 안 대표는 사과까지 해야 했다. 이 때문에 권력의 중심축이 청와대에서 당으로 점차 이동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남경필 최고위원은 이 대통령 앞에서 권재진 법무장관 불가론을 피력했고, 나경원 최고위원은 총선·대선에서 당이 전면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올 초까지만 해도 상상하기 쉽지 않은 풍경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전 지도부와 현 지도부는 조금 다르지 않으냐”고 말했다. 박희태 안상수 대표 등은 친이명박계의 힘을 모아 당선시킨 여당 대표지만 현 지도부는 비주류 출신이라는 의미다. 임태희 대통령실장도 지난 7일 “원칙에 어긋나거나 포퓰리즘으로 흐르게 되면 반대 의사를 분명히 낼 것”이라는 전제를 했지만, “당과 청와대가 하는 일이 다르지 않다. 당 중심이 돼야 한다”며 변화된 당·청 관계를 인정한 바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 지도부가 첫 회동에서 소속 의원들을 의식해 ‘강한 모습’을 보였지만 당·청 관계가 결국 화합 모드로 갈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이 대통령의 인선 고민도 계속되고 있다. 이미 청와대 내에서는 권재진 민정수석이 법무장관 단수 후보로 추천됐다는 말까지 나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현직을 떠난 사람은 전관예우 등의 문제로 발탁하기 곤란하다”며 “법무장관 후보군은 인재풀이 협소하다”고 말했다. 법무장관 후보 자격을 갖춘 인물 중 현직을 떠난 사람은 대부분 법무법인(로펌)에 갔거나 변호사 개업을 했다는 얘기다.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전관예우 논란이 불가피한 대목이다. 결국 청와대 참모들은 권 수석을 유일 후보로 안을 올렸지만 이 대통령이 최종 결심을 하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장고(長考) 인사 스타일의 이 대통령에게 여당 내 기류도 살펴야 하는 상황이 추가된 것이다.

남도영 노용택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