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장웅 IOC위원 “희망”… 동계올림픽 남북 공동개최 가능할까
입력 2011-07-13 18:17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한 공동개최는 가능할 것인가. 정치권에서 군불을 뗀 후 공동개최 가능성이 수면 위로 떠올랐지만 실현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북한의 장웅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은 13일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총회 참석을 위해 일본을 방문한 자리에서 남북 공동개최와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그렇게 되길 바란다”고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이는 정치권에서 제기되고 있는 남북 공동개최와 관련해 북한 고위 관계자가 처음입장을 밝힌 것으로, 공동개최 가능성을 더욱 확산시킬 것으로 보인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앞서 11일 강원도 평창군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가진 최고위원회에서 “평창 동계올림픽을 남북 공동으로 개최하는 방안을 심각하고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치권의 바람과 달리 남북 공동개최를 위해서는 현실적인 장벽이 너무 높다. 올림픽 개최권을 신청한 도시에 주는 상황에서 두 개 이상의 도시에서 공동개최하는 것은 IOC 헌장에 위배되고, IOC와의 계약 내용과도 맞지 않다. 일본 히로시마가 2020년 하계올림픽을 자국의 나가사키와 공동개최하려고 했다가 IOC로부터 제동이 걸린 것이 좋은 예다. 여기에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 등 탈락한 후보 도시들의 반발도 불러올 수 있다.
더군다나 강원도 평창은 ‘모든 것을 30분 안에(All Within 30 Minutes)’라는 슬로건 아래 경기장 시설을 콤팩트하게 배치한 것을 현지 실사 및 유치 과정 내내 강조해 왔다. 공동개최가 아닌 분산개최는 좀 더 가능성이 있지만 이마저도 IOC에 제출한 협약서 내용과 다른 것이어서 남북이 임의로 결정할 수 없는 사안이다. 또 하계올림픽보다 동계올림픽이 경기장 등 인프라를 구축하기가 훨씬 어려운 상태에서 북한이 국제 기준에 맞는 시설을 확충할 수 있는지도 의문이다.
정부 역시 논의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13일 “정부가 공동개최 방안을 고려하거나 검토하고 있는 것은 없다”면서 “공동개최를 위해서는 우선 방북 인원의 안전 문제부터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길 이도경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