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별 성적공개·인센티브 개선” 공감

입력 2011-07-12 18:16

학업성취도평가 거부는 무단결석·결과 처리한다는 교육과학기술부 방침에도 불구하고 12일 전국 각지에서 체험학습이 실시됐다. 서울 지역 체험학습은 국립서울과학관에서 진행됐다. 학부모 박모(45·여)씨는 초등학교 6학년인 자녀와 함께 국립서울과학관을 관람하는 체험학습에 참가했다. 박씨는 “2년 전 일제고사 실시 이후 학교에서 ‘특정 과목 성적이 낮다’며 여름방학 때도 보충수업을 나오라는 공문을 보냈다. 아이가 너무 스트레스를 받았다”며 “학교별 성적을 공개하니 학교의 명예를 위해 아이들에게 시험 준비를 강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에서는 100여명의 학생·학부모가 체험학습에 동참했다. 경북에서도 30여명의 학생이 일제고사에 반대해 체험학습에 참가했다. 체험학습에 나선 학생들은 경주나 고령, 포항, 안동 등지로 역사문화 답사에 나서거나 생태학교 학습과정에 참여했다. 전북 등 다른 지역에서도 체험학습이 진행됐다.

전문가들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학교별 성적공개와 이에 따른 인센티브가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점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손충모 부대변인은 “일제고사 대비를 위해 대부분 시·도교육청과 학교가 문제풀이식 수업을 하고 있다”며 “학생의 평상시 학업 능력에 대한 데이터를 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가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교육과정을 비롯한 기타 학교 교육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라면 표집 평가를 실시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일제고사 반대 측은 학생 평가와 학습부진아 진단·지도는 교사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한다. 홍익대 교육학과 이윤미 교수는 “현재 일제고사 방식은 시험을 보고 경쟁하는 것 외에 부진아를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적 정보’가 빠져 있다”며 “북유럽은 매 학기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학생의 학력 성취에 대해 논의하고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우리도 교사의 권한을 강화해 학습 목표를 세우고 학생과 피드백을 주고받는 방식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일제고사에 찬성하는 전문가들은 제도를 없애지 않고 보완하는 방향을 주장한다. 성균관대 교육학과 양정호 교수는 “선진국이라는 일본 미국 영국도 실제적으로 우리와 유사한 형태의 시험을 계속 보고 있기 때문에 시험 자체의 문제로 볼 순 없다”며 “특정학교에서 과도하게 학생을 압박하는 사례가 있다면 교육청의 장학과 학부모 감시구조를 만드는 것이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제고사가 어려운 시험이 아니기 때문에 학생의 학력수준만 파악하는 것일 뿐 학교별 서열화하는 것은 어렵다”며 “기초학력미달 비율이 높은 학교라도 상위권 학생이 많고 중위권이 없는 경우가 있어 학교별 서열을 매기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임성수 임세정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