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측근불가론’ 이번엔 넘을까… ‘권재진 법무카드’ 靑 “대안 없다” 강행모드

입력 2011-07-13 00:26


청와대 권재진 민정수석이 후임 법무장관에 유력한 가운데, 이명박 대통령이 최종 고심을 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11일 오후 아프리카에서 귀국한 직후 청와대 임태희 대통령실장으로부터 사정라인 인선 내용을 보고받았다. 이 대통령은 13일 홍준표 대표를 비롯한 한나라당 새 지도부와의 오찬에서 의견을 청취한 다음 인사를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법무장관, 검찰총장, 청와대 민정수석 등 사정라인 핵심 3인방이 교체되는 이번 인사의 핵심은 권재진 민정수석의 법무장관 기용 여부다. 현재 청와대 내부에서는 후임 법무장관으로 권 수석이 단수로 거론된다. 사실상 내정단계라는 얘기다. 핵심 관계자는 12일 “권 수석 외에 다른 대안은 없는 상태”라고 전했다.

특히 권 수석의 법무장관 기용에 가장 큰 ‘난관’으로 지목돼 온 한나라당 지도부 내에서 사실상 권 수석 기용에 반대하지 않겠다는 목소리가 흘러 나오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법무장관을 정동기 전 민정수석의 감사원장 기용 논란 때와 비교하면 안 된다”면서 “부동산 등 개인적인 문제만 없다면 법무장관에 가는 것을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 최고위원도 “(권 수석 임명에) 큰 문제가 없다고 본다”고 긍정적인 입장을 취했다. 청와대와 한나라당 지도부 간에 어느 정도 의견 조율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지난 1월 안상수 대표 등이 반발했던 ‘제2의 정동기 감사원장 파동’과 같은 일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권 수석의 법무장관 기용설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5·6 개각 당시 권 수석은 이귀남 법무장관 후임으로 확실시됐으나, 발표 2시간을 앞두고 명단에서 빠졌다. 개각 발표 당일 한나라당에서 비주류인 황우여 원내대표체제가 들어서고, 소장파를 중심으로 ‘측근·TK·회전문 인사 불가론’이 강했기 때문이다. 이런 기류는 청와대 참모를 거쳐 이 대통령에게 전달됐다.

권 수석으로서는 두 번째 법무장관 도전인 셈이다. 이번에 임명될 법무장관은 이 대통령과 임기를 함께할 가능성이 높다. 이 대통령은 권 수석의 지난 2년간 업무수행에 높은 평가를 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검사로서의 능력, 이명박 정부 철학에 대한 이해 등을 고려하면, 다른 변수가 없다면 권 수석이 법무장관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여당 내 일각과 야권에서 제기되는 ‘측근 불가론’은 여전히 가장 큰 걸림돌이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해 온 민정수석이 법무장관으로 가는 것은 곤란하다는 논리다. 여당 쇄신파 모임인 ‘새로운 한나라’ 소속의 한 초선의원은 “오찬 모임을 했는데, 많은 참석자들이 반대했다”면서 “청와대가 내정해도 국회에서 부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는 “선거 관리는 행정안전부 장관이, 선거 관련 수사는 검찰총장이 지휘하게 된다”며 “법무장관은 행정부처의 장으로 국무위원인 만큼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는 사람이 가는 게 맞다”고 반박한다.

아울러 권 수석의 경우는 2006년 노무현 정부 당시 문재인 민정수석의 법무장관 기용 논란과 다르다고 주장한다. 한 관계자는 “문 전 수석은 검찰을 잘 모르는 대통령의 최측근이었고, 권 수석은 검찰 내부를 잘 안다는 차이가 있다”고 했다.

남도영 노용택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