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부조작 땐 하위리그로 강등… ‘승강제’ 도입 등 종합대책 발표

입력 2011-07-11 21:46


프로축구 승부조작을 근절하기 위해 승강제가 조기 도입되는 등 K리그가 전면 손질에 들어간다. 하지만 이번 대책이 승부조작을 근본적으로 뿌리 뽑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다.

정몽규 한국프로축구연맹 총재는 11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2013년 승강제 시행, K리그 대회 방식 전면 개편, 신인선수 선발 제도 변경, 선수 복지제도 도입 등의 내용이 담긴 승부조작 후속 대책을 발표했다.

연맹은 2013년부터 승강제를 도입·시행키로 했다. 현행 단일 리그인 K리그를 1부와 2부 리그로 나눠 운영하고, 별도 자격제가 도입돼 리그별로 참가 가능한 팀의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승강제는 시즌마다 상위리그 하위 팀과 하위리그 상위 팀을 성적에 따라 맞바꾸는 제도로 시즌 끝까지 상위리그 하위 팀 선수들이 긴장을 풀지 않고 경기에 열심히 뛰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자격 기준에는 성적뿐 아니라 승부조작 등 부정행위 여부도 반영한다.

안기헌 연맹 사무총장은 “아시아축구연맹(AFC)이 요구하는 1부 리그 규모가 12개 팀인데 가급적 AFC의 기준을 수용하는 범위에서 대한축구협회와 상의해 팀 수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연맹은 승부조작 사건이 불거지기 전부터 2013년 승강제 도입을 목표로 해 왔다. 유럽, 중국, 일본 등에서 시행하고 있는 승강제는 오래전부터 논의돼온 제도였지만 일부 구단의 반발 등으로 리그 구성이 어려워 시행 여부가 차일피일 미뤄졌다. 하지만 승부조작 사건이 터진 이후 승부조작 구단에 대한 제재의 일환으로 리그 강등이 거론되면서 승강제 조기 도입 여론이 높아졌고 이를 연맹이 받아들였다.

또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리그컵의 운영 방식도 대폭 손질해 정규리그와 별도의 기간에 리그컵 대회를 치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2006년 도입한 신인선수 선발 드래프트제를 올해까지만 적용하고 2013년 신인부터는 자유계약과 드래프트의 장점을 보완한 새 제도를 선보여 선수들의 연봉이 상승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이 밖에 구단과 선수가 공동 부담하는 선수 연금제를 도입해 처우를 개선할 방침이다.

연맹이 지난달에 이어 승부조작 종합 대책을 내놨지만 앞으로도 꾸준히 대책을 마련하고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승강제가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지만 승강제가 이미 시행되고 있는 리그에서도 승부조작 문제가 끊임없이 터지고 있어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이번 대책의 경우 구체적인 시행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채 발표돼 검찰 수사결과 발표에 따른 구색 맞추기라는 비판도 있는 만큼 향후 진행 상황을 알리고 철저히 시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