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도 ‘공천룰’ 싸고 내홍 심화… 민주 개혁특위 초안 확정

입력 2011-07-11 21:42

민주당도 당 개혁특위가 공직선거 선출안 초안을 확정하면서 공천 룰을 둘러싼 내부 진통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개혁특위가 마련한 공천 룰 가운데 논란의 여지가 가장 큰 것은 지역구 총선 후보 선출 방식과 여성 후보 가산점제다.

지역구 총선 후보의 경우 다수안은 ‘완전국민개방경선(오픈프라이머리) 70%+배심원 평가 30%’, 소수안은 ‘국민참여경선(당원 35%+일반국민 35%) 70%+배심원제 30%’가 채택됐다. 서울·경기 지역의 경우 배심원 모집단을 500명으로 구성한 뒤 후보자들의 정책토론 하루 전에 무작위로 20명을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일반국민, 당원, 배심원 등 여러 요소가 혼재되면서 다소 복잡하다는 점이다. 또 옛 당권파인 정세균 최고위원 측은 당원 중심의 경선 룰을, 손학규 대표 측과 정동영 최고위원 측은 일반국민이 대거 참여하는 오픈프라이머리를 선호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 ‘빅3’ 갈등도 불가피하다.

여성 우대안도 논란이다. 개혁특위는 내년 총선에서 지역구 후보의 15% 이상을 여성에게 할당하고, 경선 시 가산점을 주는 안을 마련했다. 여성 가산점은 정치 신인의 경우 20%, 비례대표를 포함한 타지역 당선 경험이 있는 전·현직 국회의원 및 전·현직 지역위원장은 10%, 해당 지역 공직 당선자를 제외한 여성 전원에게 가산점을 주는 방안 등 세 가지를 놓고 검토 중이다.

한 비례대표 여성 의원은 11일 “20%의 가산점을 줘도 공천받을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라고 말했다. 반면 한 남성 의원은 “비례대표는 이미 한 차례 혜택을 받은 것”이라며 “한번 더 혜택을 바라는 것은 과도하다”고 반박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